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동으로 실시한 ‘일회용생리대 건강영향조사’에서 생리대 사용과 불편증상 사이 경향성이 확인됐다.
정의당 강은미 국회의원은 21일 보도자료를 내고 식약처가 제출한 결과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최초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일회용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결과보고서’ 주요내용에 따르면 단면조사와 패널조사 결과 모두 일회용 생리대에 함유된 화학물질 노출수준에 따라 생리 관련 불편증상이 통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보고서에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리 관련 증상 유병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일회용생리대 속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생리를 하는 동안 외음부 가려움증, 통증, 뾰루지, 짓무름, 생리통, 생리혈색 변화, 두통 등 생리 관련 증상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통계학적 결과 및 VOCs(휘발성유기화합물) 등 화학물질의 특성(피부자극성 등)을 고려할 때 화학물질 노출도 불편증상과 관련한 여러 가능성 있는 요인 중 하나로 추정해 볼 수 있고, 일회용 생리대 사용과 건강 피해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추적연구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끝으로 보고서는 보다 명확한 인과관계 규명을 위해 실험적 모형이나 동물실험 모형을 이용한 노출·흡수연구, 질점막 자극시험, 복합노출을 고려한 독성학적 연구, 생체모니터링을 포함한 실험적 연구, 여성건강평가연구 등의 수행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며 추후 보충 연구를 위한 로드맵을 내놓기도 했다.
강 의원은 결과보고서가 뒤늦게 공개된 것을 강한 어조로 질타했다. 그는 “식약처가 국민의 건강에 직결되는 문제를 감추려고 한 것은 결국 기업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며 “가습기살균제 참사 때와 똑같은 태도다. 식약처는 민관협의회 결과 및 결과보고서의 결론대로 하루빨리 생리대 노출·독성평가에 착수해 후속 조치를 실시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환경부와 식약처는 2018년부터 2021년 4월까지 ‘일회용생리대 건강영향조사’를 공동으로 진행했으나 연구 종료 후 1년 반이 경과하도록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결과보고서 제출을 의결했음에도 식약처는 제출을 거부했고, 전날 종합감사에서 관련해 질타가 쏟아지자 결국 자정이 되어서야 제출을 약속해 이날 그 결과가 공개됐다.
일회용생리대 건강영향조사는 2017년 생리대 사용으로 인한 피해 호소가 빈발하자 이를 규명하기 위해 시작됐다. 정의당과 여성환경연대를 비롯한 시민사회의 청원으로 같은 해 12월 관계부처와 전문가·민간단체가 포함된 ‘민·관 공동조사 협의체’가 구성되었으며 2018년 4월부터 건강영향조사를 시작했다. 청원이 시작된 이후로 5년이 지나서야 결과보고서가 공개된 것이다.
생리대가 여성 대부분이 사용하는 필수적 의약외품임에도 식약처가 결과보고서 제출을 미적거린 것은 연구결과를 공개하는 데 부담을 가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보고서를 통해 일회용생리대가 여성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이 드러난 셈이어서 식약처의 미온적 대응에 대한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류동환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