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10주년 특별판’에 인공지능(AI)이 쓴 서문이 실렸다. 하라리는 특별서문을 통해 AI의 글에 대해 “깜짝 놀랐다”고 감탄하며 앞으로 더 커질 AI의 힘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라리는 최근 출간한 ‘사피엔스 10주년 특별판’에서 AI가 글쓰기를 대체할 수 있을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벌였다. 인공지능 ‘GPT-3’에게 사피엔스 출간 10주년 기념 서문을 쓰라고 주문한 것이다. GPT-3는 이 요청에 따라 하라리의 책과 논문, 인터뷰를 비롯한 온라인에 떠돌아다니는 무수한 글을 모아 완성했다. 그 과정에서는 어떠한 수정이나 편집도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AI가 만들어 낸 결과물을 본 하라리는 감탄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본인이 직접 쓴 ‘특별서문’에서 “(AI의 글을 읽고) 정말 깜짝 놀랐다”면서 “정말 AI가 이 글을 썼다는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글 자체는 잡동사니를 조합해 만든 잡탕”이라면서도 “하지만 어차피 모든 글이 다 그렇지 않은가? 내가 ‘사피엔스’를 집필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수많은 책, 논문, 인터뷰 글을 모아서 서로 다른 아이디어와 사실을 결합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냈으니 말이다”라고 했다.
하라리는 특히 GPT-3가 쓴 글의 논리적 일관성이 있었다면서 “GPT-3의 주장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글이 실제로 모종의 주장을 펴고 있다는 점에서 놀라지 않을 수 없다”고 평했다.
그는 다만 “나라면 결코 글로 쓰지 않았을 아이디어가 많이 포함됐다. 납득하기 어렵거나 명백하게 우스꽝스러운 부분도 보였다”면서 “그 결과물은 문학적이면서 지적인 잡탕처럼 보인다. 적어도 몇 년간은 GPT-3가 내 일자리를 빼앗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라며 일단 ‘안심’했다.
하라리는 특히 이번 AI 서문을 통해 기술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른 사실에 놀랐다고 전했다. 2010년 사피엔스를 집필할 때만 해도 “원시적”이었던 인공지능의 수준이 10년여 만에 커다란 기술적 도약이 이뤄졌다는 것이다.
그는 “적어도 몇 년 동안은 인간이 인공지능보다 여전히 더 강할 것”이라고 내다보면서도 “AI가 일으킬 획기적인 변화에 역사상 처음으로 힘의 중심이 인류의 손아귀에서 벗어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을 비롯한 혁신적인 기술을 어떻게 개발하고 사용할지, 그 틀을 결정할 힘을 (인간이) 아직도 보유하고 있다. 이 힘을 지혜롭게 사용하는 것은 우리 삶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