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인구 늘리기 백약이 무효…올해 6000여명 감소

입력 2022-10-19 15:06
경북 포항시청 전경

경북 포항시의 인구 감소세가 지속되며 올 6월 이후 5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시는 지난해부터 주소갖기 등 인구 늘리기에 나서고 있지만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19일 포항시에 따르면 9월 말 기준으로 포항의 주민등록인구는 49만7900명으로 지난해 12월 말 50만3852명보다 5952명 줄었다.

포항 인구는 1995년 영일군과 통합 당시 51만867명을 기록 후 계속해서 인구 50만명 이상을 유지했다. 2015년에는 53만명에 육박하기도 했다.

그러나 출산율 저하, 철강 경기 침체 지속에 따른 일자리 축소 등으로 인구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 6월 시·군 통합 이후 처음으로 50만명 아래인 49만9854명을 기록한 이후 7월 49만9363명, 8월 49만8597명으로 지속해서 줄었다.

출산율을 비롯해 영아부터 청년층 인구 감소는 더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9월 2230명이던 신생아는 올해 9월 2121명으로 109명이 줄었고 0~19세 인구는 3130명, 20~39세 인구는 5328명이 감소했다.

시는 인구 50만명 유지를 위해 지난해부터 포항사랑 주소 갖기 운동 등 인구 늘리기에 나섰다. 인구정책 기본조례를 바꾸고 주소 이전 지원금, 근로자 이주정착금 등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했지만, 인구감소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동안 시는 인구 50만명 이상을 유지하면서 대도시 행정 특례 적용을 받았다. 그러나 인구가 50만명 미만으로 2년간 지속되면 행정권한이 축소되고 비자치구인 남·북구청이 폐지된다. 경찰서와 소방서, 보건소 등도 2곳에서 1곳으로 줄어든다.

시는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교육, 의료 등 도시 정주여건 개선을 통해 인구 늘리기에 집중할 방침이다.

또 세미나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예산 편성 및 정책과 각종 사업을 추진하기 전에 인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인구영향평가 제도 도입 등을 계획하고 있다.

포항시 관계자는 “단순한 인구 늘리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 같다”면서 ”인구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추진하는 인구 정책을 보완하고 출산율 제고와 청년층 유입을 위한 다양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