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중앙지검 등을 대상으로 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송경호 서울중앙지검장 사이 신경전이 벌어졌다.
김 의원과 송 지검장은 이날 국정감사 도중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등에 대한 질의·답변 과정에서 설전을 주고받았다.
문재인정부 시절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김 의원은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검찰이 서욱 전 국방부 장관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일을 비판했다.
김 의원은 “제가 기자 출신으로 YS(김영삼정부) 때 검찰에 출입했는데, 그때 서울(중앙)지검의 모 차장 검사가 기자들 앞에서 ‘우리는 개다. 물라면 물고 물지 말라면 안 문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자 송 지검장은 “그분들 이야기”라고 반박했다.
이에 김 의원은 “맞다. 그분들 이야기”라면서도 “지금 검찰은 훨씬 더 강한 권력을 가져서 검찰이 이렇게까지 극단적인 상황으로까지 몰고 가는 역사적인 책임을 여기 계신 분들이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날을 세웠다.
송 지검장은 “의원님 개인 의견이다”라고 맞받아쳤다.
김 의원은 “밈스(MIMS·군사정보통합처리체계) 삭제 같은 경우 서욱 전 장관 혐의가 인정이 된다면 거의 동일 시간대 국정원에서도 40여건이 삭제됐다. 이러면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도 구속 대상인가”라고 묻기도 했다.
송 지검장은 “상황 전제로 답변하지 못 한다”고 답했다. 또 ‘문재인 전 대통령도 조사할 건가’라는 질문에도 “가정적 상황에 답변드리지 않는다”고 재차 강조했다.
송 지검장은 이날 김 의원의 질의 도중 “자꾸 다른 얘기를 한다. 사실과 다른 내용을 전제로 해 질문하면 잘못된 사실을 사실로 인정하게 되는 것”이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두 사람의 설전이 이어지자 민주당 간사인 기동민 의원은 의사진행 발언을 통해 “중앙지검장이 보기엔 일방적이고 잘못된 주장일 수 있는 것이지만, (야당 의원들의) 존재적 한계 때문에 그렇다”며 “국회에 싸우러 오고 다른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오신 게 아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기 의원은 “국회의원들의 질문에 일일이 반박하고 사실관계를 바로잡으려고 하고 질문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끼어드는 모습으로 (검찰) 조직을 추스를 수는 없는 것 아니겠나”라고도 덧붙였다.
송 지검장은 김 의원을 향해 “자꾸 사실과 다른 것에 근거해 질문을 하니, 제가 답변 과정에서 조금 과하고 여러 의원들이 보실 때 부족한 모습을 보인 것은 지금 정중하게 사과드린다”고 했다.
기 의원에게는 “검찰수사가 마치 불법적으로 이뤄진다는 느낌을 줄 수 있어 제가 과하게 반응한 것 같다”며 “지적을 유념하고 다시 한번 정중하게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