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와 기아가 조만간 발표될 올해 3분기 실적에 세타2 GDI 엔진 교체율 증가 등에 따른 2조9000억원의 품질비용을 반영한다.
지난 2020년 3분기 세타2 엔진과 관련해 3조4000억원 비용을 반영한지 2년 만이다.
역대 최대 실적이 예상되던 올해 3분기 실적도 부진한 결과가 예상된다.
현대차는 18일 품질비용 약 1조3600억원을 올해 3분기 실적에 충당금으로 반영한다고 공시했다. 기아는 1조5400억원의 품질비용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현대차·기아는 이날 오후 5시 국내외 기관투자자와 증권가 애널리스트들을 상대로 설명회를 열어 해당 공시와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을 알렸다.
시장 충격을 줄이고자 공식 실적발표에 앞서 투자자들에게 품질비용 관련 내용을 알린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이번 3분기 현대차‧기아가 역대급 실적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3분기 현대차 영업이익은 3조원, 기아는 2조원 이상을 웃돌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완화와 달러 강세,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비롯한 고수익 차종 판매 호조 등 요인이 호재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했다.
하지만 세타2 엔진 품질비용을 2년 만에 추가 반영하게 되면서 사상 최대 실적 달성은 어렵게 됐다.
현대‧기아차는 이번 품질비용 반영에 대해 “품질 이슈만큼은 고객 최우선 관점으로 선제적이고 철저하게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세타2 엔진은 앞서 떨림과 시동 꺼짐 등 품질 논란에 휩싸였었다. 현대차와 기아는 2019년 해당 엔진 탑재 차량에 대해 엔진 평생보증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2020년 3분기에 이와 관련된 품질비용으로 현대차 2조1352억원, 기아 1조2592억원이 반영돼 당시 실적에 큰 타격을 줬다.
2년 만에 품질비용을 추가 반영하게 된 데는 반도체 수급 문제로 중고차 사용 기간이 길어진 점이 영향을 미쳤다.
폐차율이 낮아진 결과 엔진 교체율이 높아지면서 평생보증 프로그램 비용이 증가했고 그 결과 품질비용이 예상보다 크게 늘어났다고 현대차·기아는 분석했다.
또 환율 급등에 따라 추가 비용 반영분이 증가했고, 전례 없는 평생보증 프로그램 제공에 대한 비용을 합리적으로 추산해 반영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올해의 대당 조치 비용은 2019년 대비 약 21% 감소하는 등 이미 최고점은 지나 안정화하는 추세”라며 “차량 개발부터 생산, 판매 이후까지 철저하게 품질을 관리하는 한편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한 최선의 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