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카카오 서비스 먹통 사태의 책임을 묻기 위해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전 이사회 의장)을 오는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 부르기로 결정했다. 이번 사태의 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 보상 방안 등을 실무책임자가 아닌 카카오 창업자로부터 직접 듣겠다는 것이다. 여야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국감 증인으로 채택했다.
과방위는 이날 KBS 등에 대한 국감 도중 전체회의를 열고 24일 과기정통부 국감에 부를 증인 6명을 여야 합의로 확정했다. 김 센터장과 이 GIO, 최 회장, 홍은택 카카오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 박성하 SK C&C 대표가 증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김 센터장은 지난해 카카오의 골목상권 침해 논란으로 정무위원회 국감에 소환된 데 이어 올해도 출석하게 됐다. 최 회장에 대해선 이번 화재가 발생한 SK C&C의 판교 데이터센터 관리 책임을, 이 GIO에게는 같은 건물에 서버를 둔 네이버에서도 일부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던 것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여야는 24일 국감에서 이번 사태와 관련된 사항만 묻고 다른 내용은 다루지 않기로 결정했다.
앞서 여야는 김 센터장을 증인으로 채택하는 문제를 두고 신경전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조승래 의원이 “단순하게 실무책임자나 경영진을 불러서는 근본적인 문제를 진단하거나 대책을 마련하기 어렵다”고 지적하자, 국민의힘 간사인 박성중 의원이 “현장에 가봤으면 알겠지만 전반적인 화재 사건은 SK C&C에 관한 부분이었다”고 반박했다. 네이버 부사장을 지낸 윤영찬 민주당 의원은 “대처를 잘한 네이버 오너와 사장이 증인으로 출석해야 하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고 이의를 제기하기도 했다.
이날 KBS 국감에선 KBS 간부의 ‘대북 코인 사업’ 연루 의혹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의철 KBS 사장은 ‘KBS 남북교류협력단 팀장으로 재직했던 간부가 지난해 7월 민간단체 아태평화교류협회 회장으로부터 가상화폐 20만개를 받았다는 것이 사실이냐’는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윤 의원은 “(해당 간부는) 2019년 10월 안모 아태협 회장 요청으로 1000만원을 빌려주고, 안 회장이 ‘빌려준 돈 대신 코인으로 갚겠다’고 해서 대북 코인 20만개를 받았다”며 “이는 취재 윤리 강령에 위배되는 게 아니냐”고 물었다. 김 사장은 “KBS 시스템은 그렇게 취재원을 관리하지 않는다”며 “(해당 간부에 대해) 윤리 강령 위반, 취재원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감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김 사장은 2019년 7월 KBS가 단독 보도한 리종혁 조선아태평화위원회 부위원장 인터뷰와 해당 사건의 연관성을 묻는 질의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