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이 16일 카카오 서비스 장애 사태와 관련해 “그동안 소비자인 국민을 ‘봉’으로만 생각한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고 했다.
허 의원은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카카오가 지난해 6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면서도 사회적 책임이나 의무에 대해서는 너무나 무관심하고 무방비 상태였던 것이 드러났다”며 이같이 적었다.
허 의원은 “카카오는 불시의 재난 상황에서도 서비스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체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었어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카카오는 보다 신속하게 고객(국민)에게 현 상황을 자세히 알리고 사죄하고, 수 많은 피해자들의 피해 구제에 빠르게 나서야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데 피해보상에 관련 제 질의에 답변한 홍은택 대표에 의하면, 카카오는 아직까지도 피해 접수는 물론 보상 계획 마련에 대한 어떠한 논의도 시작하지 않은 상태라고 한다”며 “대기업이 고객이 겪게 될 리스크관리에 대한 기본 대처도 준비되지 않은 것에 놀랐다”고 비판했다.
허 의원은 “추후 ‘신속 피해 구제하라’는 저의 질의에 카카오 홍 대표는 직접 충분한 보상을 약속해 다행”이라면서도 “하지만 추후 SK C&C와 책임 소재 ‘떠넘기기’로 피해 보상이 늦어질까 우려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대기업 간 ‘고래 싸움’에 정작 ‘새우등’ 터지는 것이 피해 당사자인 국민이 돼서는 안된다”며 “카카오도 국민 한분 한분이 최대 매출원이라는 점을 잘 알 것”이라고 짚었다.
허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김범수 의장은 카카오의 사회적 책임 완수를 약속했다. 그 말이 ‘립서비스’가 아니었음을 카카오 스스로 신속하고 충분하게 입증하길 바란다”며 “남은 국감에서 따질 것이고, 국민이 지켜볼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