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은아 “카카오, 국민을 ‘봉’으로만 생각한것 아닌지”

입력 2022-10-16 21:42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들이 16일 오후 카카오 등 데이터 관리 시설이 입주한 경기도 성남 SK 판교캠퍼스의 전기실 등 화재 현장을 둘러본 뒤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허은아, 박성중(이상 국민의힘), 정청래, 조경태, 조승래, 윤영찬(이상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이 16일 카카오 서비스 장애 사태와 관련해 “그동안 소비자인 국민을 ‘봉’으로만 생각한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고 했다.

허 의원은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카카오가 지난해 6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면서도 사회적 책임이나 의무에 대해서는 너무나 무관심하고 무방비 상태였던 것이 드러났다”며 이같이 적었다.

허 의원은 “카카오는 불시의 재난 상황에서도 서비스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체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었어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카카오는 보다 신속하게 고객(국민)에게 현 상황을 자세히 알리고 사죄하고, 수 많은 피해자들의 피해 구제에 빠르게 나서야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데 피해보상에 관련 제 질의에 답변한 홍은택 대표에 의하면, 카카오는 아직까지도 피해 접수는 물론 보상 계획 마련에 대한 어떠한 논의도 시작하지 않은 상태라고 한다”며 “대기업이 고객이 겪게 될 리스크관리에 대한 기본 대처도 준비되지 않은 것에 놀랐다”고 비판했다.

허 의원은 “추후 ‘신속 피해 구제하라’는 저의 질의에 카카오 홍 대표는 직접 충분한 보상을 약속해 다행”이라면서도 “하지만 추후 SK C&C와 책임 소재 ‘떠넘기기’로 피해 보상이 늦어질까 우려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대기업 간 ‘고래 싸움’에 정작 ‘새우등’ 터지는 것이 피해 당사자인 국민이 돼서는 안된다”며 “카카오도 국민 한분 한분이 최대 매출원이라는 점을 잘 알 것”이라고 짚었다.

허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김범수 의장은 카카오의 사회적 책임 완수를 약속했다. 그 말이 ‘립서비스’가 아니었음을 카카오 스스로 신속하고 충분하게 입증하길 바란다”며 “남은 국감에서 따질 것이고, 국민이 지켜볼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