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카카오 서비스가 장시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데 대해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실장 중심의 상황실을 장관 주재로 격상해 지휘하기 바란다”고 16일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카카오, 네이버 등 디지털 부가서비스 중단으로 우리 국민께서 겪고 계신 불편과 피해에 대해 매우 무겁게 느끼고 있다”며 “카카오 등이 책임 있고 신속한 서비스 복구를 하도록 정부 부처도 노력을 다해 주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고 김은혜 홍보수석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정확한 원인 파악은 물론, 트윈 데이터센터 설치 등을 포함한 사고 예방 방안과 사고 발생 시 보고, 조치 제도 마련도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15일 이종호 과기부 장관에 해당 사태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지시한 이후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16일 추가로 장관 주재 현장회의를 주문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은 무엇보다 업계와 정부가 합심해서 서비스 복구에 매진해 신속한 정상화를 이뤄낼 것을 주문했다”고 밝혔다.
김 수석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지금의 초연결사회에서 데이터와 통신인프라는 국가안보와 국민생활에 직결된다”며 “특히 네트워크망 교란은 민생에 상당한 피해 줄 뿐만 아니라 유사시 국가안보에도 치명적 문제를 야기한다”고 지적했다.
김 수석은 이어 “온국민이 사용하는 인터넷 부가서비스 카카오톡은 한 두 시간이 아닌 장시간 중단되는 사태로 국민들에 큰 불편과 피해를 끼친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며 “긴급 상황때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원상태로 돌리는 것은 기업 책무이자 사회적 약속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수석은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있을 수 있는 모든 사태에 대비한 민관 협력을 강화하도록, 윤 대통령은은 이에 준하는 원칙을 적용해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며 “아마 이렇게 되면 데이터 센터에 대한 안전·조치 의무를 재점검하고 현실에 맞도록 보완하는 방안도 아마 민관이 함께 논의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