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개발 및 건설에 4500억원이 투입된 인천국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운행 재개가 2024년 7월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중정비를 위해 이미 휴업에 들어간 상태에서 운행 재개까지 최소 21개월여의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돼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미추홀구갑)이 인천국제공항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기부상철도 전동차 중정비 용역 시행계획 및 시행결의’ 자료에 따르면 인천공항공사는 현대로템과 중정비 용역에 대한 수의계약(계약금 57억7000만원)을 체결, 오는 2024년 9월까지 전동차 4편성의 중정비를 완료할 계획이다.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이번 중정비 용역을 위해 지난 7월부터 휴업에 들어간 상태다.
현대로템은 앞으로 내년 7월까지 자재발주 및 입고, 전문인력 확보 등 중정비 용역 준비에만 10개월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운행 재개를 위한 3편성 중정비까지는 추가로 11개월이 들어간다. 운행 재개를 위해서는 실제 운행하는 2편성과 비상상황을 대비한 예비 1편성 등 최소 3편성을 유지해야 한다.
허 의원과 철도 전문가들은 열차 안전과 운행 성능 확보를 위한 중정비로 2년 가까이 휴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유례없는 일이라고 지적한다. 중정비로 열차 운행에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지난 5월 중정비 문제로 인천공항공사에 시정조치를 통보했고, 7월에는 시정명령 이행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현대로템이 자재 수급 등의 이유를 들며 적기에 중정비를 진행하지 못하면서 2편성이 검사 주기를 초과하는 사태까지 발생, 결국 휴업을 결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인천공항공사의 설명이다.
또한 인천공항공사는 지난 8월 공정기간 단축과 금액 조정이 가능한지 현대로템과 협의하고도 불가 의사를 통보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두고 현대로템이 안정적인 부품 공급과 전문 인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 역시 나온다.
허 의원은 “국토부와 인천공항공사 등 공공과 시민이 피해를 보고 있는 반면, 현대로템은 ‘나 홀로 돈벌이’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자기부상열차 개발 주체인 현대로템은 중정비 공정 기간을 앞당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하는 책무가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하고, 국토부는 중정비 지연에 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규명해 이에 따른 제재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로템은 2018년 4월 23일부터 2019년 9월 22일까지 진행한 1차 중정비와 이번 2차 중정비로 95억7000만원의 수익을 거둘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