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쌍방울그룹과 아태평화교류협회(아태협)가 북한으로 수십억원을 송금한 정황을 포착하고 14일 압수수색을 벌인 가운데, 검찰은 쌍방울과 아태협이 임직원 60여명을 동원해 달러와 위안화로 환전한 돈을 중국에서 북측 인사에게 직접 전달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수원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김영남)는 이날 쌍방울 그룹 전직 간부와 아태협 회장 안모씨의 자택, 아태협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쌍방울그룹과 아태협이 2019년 수십억원을 중국으로 밀반출한 정황을 포착하고 외국환거래법 위반 등 혐의를 수사 중이다. 검찰은 이 돈이 북한으로 흘러 들어간 정황을 살펴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법조계 등에 따르면 검찰은 쌍방울과 아태협 관계자들이 2019년 1월과 11월 중국 선양에서 북측 인사와 만났는데, 그 전에 임직원 60여명에게 1인당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을 달러와 위안화로 환전하게 하는 방식으로 외화 수십억원을 마련해 중국으로 빼돌려 북측 인사에게 건넨 것으로 보고 있다고 이날 JTBC가 보도했다.
2019년은 쌍방울이 북한 관련 사업에 집중했던 시기다. 쌍방울은 그해 5월 중국 단둥에서 북한 민족경제협력연합회를 만나 ‘경제협력 합의’를 맺었다. 계열사 나노스는 북한과 경협 합의로 희토류를 포함한 북한 광물에 대한 사업권 등을 약정받았다.
이화영 당시 경기도 부지사는 쌍방울 측에 해당 사업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고 2억6000만원 뇌물을 포함해 총 3억2000만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이날 구속기소됐다. 검찰은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의 관련성 등도 계속 수사할 방침이다.
아태협은 2018년 11월과 2019년 7월 경기도와 필리핀 마닐라에서 각각 ‘아시아태평양의 평화·번영을 위한 국제대회’를 경기도와 공동 주최했다. 일제 강제 동원의 진상규명과 성노예 피해 치유 방안 등이 논의된 당시 행사에는 남북한 대표단이 참석했다. 쌍방울은 이 행사에 8억원을 우회 지원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