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사기 피해 방지를 위해 서울시가 올해 처음 시행한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사업 결과 1인 가구 및 오피스텔 거주자가 가장 많이 지원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빌라와 다세대주택이 많은 서울 강서구가 가장 많았다.
서울시는 총 857가구가 신청한 가운데 저소득 순으로 610가구를 선정해 보증보험료 전액을 지원했다고 13일 밝혔다. 1인당 평균 보험료는 16만3578원으로, 1억원 예산을 투입해 915억원의 청년 자산에 울타리를 쳐 준 셈이다.
지원 대상의 보증금은 1억~2억원이 85.2%로 가장 많았다. 평균 보증금은 1억4800만원이다. 86.6%가 전세 세입자였으며 월세는 월 50만원 이하가 대부분이었다.
지원 대상 주거실태조사 결과 1인 가구(85.2%)가 대다수였다. 연령별로는 만25~29세(49.5%), 주거 유형 중에는 오피스텔(46.2%)이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강서구가 18.4%로 가장 많았고, 금천구(8.7%), 영등포구(7.2%) 등 순이었다. 시 관계자는 “사회 초년생이 지원 대상의 대부분이었다”라고 말했다.
지원 대상 가운데 실제 보증사고 피해 경험이 있는 사람은 37가구였다. 지방에 살던 사회 초년생 A씨의 경우 서울 소재 기업에 취직해 전셋집을 마련했다. 중소기업취업청년 대출로 보증금을 마련하고 전입신고와 확정일자까지 마쳤지만 집주인의 채무 문제가 불거지며 보증금을 모두 날렸다. 신혼인 B씨도 임대 사업에 어려움을 겪던 집주인이 잠적하면서 경매를 통해 보증금을 돌려받을 때까지 2년이나 허비했다. 김철희 미래청년기획단장은 “청년의 주거 안정성 강화를 위해 다각도의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