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체조직 기증자가 급감하는 가운데 국가가 사망자로부터 기증받은 뼈, 혈관 등 인체조직 중 16.6%가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민의 힘 이종성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한국공공조직은행 종합감사 처분요구서’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3년간 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조직은행이 기증받은 시신과 부상자 등으로부터 뼈, 양막, 근막, 혈관, 연골 등 인체조직 1만6137건을 채취했다. 그러나 이 중 2686건(16.6%)이 폐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인체조직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관련 지침을 어겨 폐기된 건이 590건으로 전체 폐기건의 22%를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내역을 보면 조직 채취 과정에서 의무사항인 혈액검사를 누락하거나 포장재 손상으로 오염돼 쓰지 못하게 된 경우는 77건이었다. 가공처리 시간을 지키지 못했거나 기계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도 않고 처리를 시도하는 등 기본적인 지침을 따르지 않아 폐기한 사례는 160건, 인체조직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인 분배 과정에서 공급 시 품질 보증 의무 규칙을 위반한 건이 353건으로 가장 많았다.
국내 인체조직 기증 자체도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최영희 의원이 공공조직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 414명이었던 조직 기증자는 지난해엔 104명에 그쳤다.
이 같은 지적에 강청희 한국공공조직은행장은 지난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이식재 관리를 강화하고 폐기율을 낮추는 데 많이 고민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는 조직은행의 잘못에 의한 이식재 손실로 폐기된 건은 한 건도 없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인체조직 부실 관리 등을 이유로 한국공공조직은행에 기관 경고를 내린 바 있다.
김은초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