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에서 조직 폭력단 출신을 자처하는 소위 ‘조폭 유튜브’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올해 경찰청 국정감사에선 이들이 생산하는 무분별한 콘텐츠에 청소년들이 무방비로 노출된 상황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앞서 지난 7일 경찰청 국감에서 이 문제를 지적했던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이 12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조폭 유튜브’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조 의원은 “경찰청 자료에서는 조폭 유튜브 채널을 9개로 파악하고 있는데, 언론 보도 등을 보면 30개가 넘는다고 한다”고 했다. 채널의 운영자는 대부분 전직 조폭인데, 이들은 ‘자기들이 감옥 갔다 와서 개과천선했다, 자기처럼 이렇게 나쁜 조폭이 되지 말라’ 등의 구실을 내세워 청소년들을 선도한다는 명분으로 방송을 한다.
조 의원은 “담당형사들 말에 의하면 (이들이 유튜브에 뛰어든 것은) 다 돈이 되기 때문”이라며 수입 증대를 위해 ‘자극적인 콘텐츠’를 생산하려고 온갖 기상천외한 일들을 벌인다고 전했다. 조 의원은 유튜브 채널 ‘범죄사냥꾼’을 운영하는 이대우 동대문경찰서 수사1과장의 말을 전하며 “이들은 조회수를 높이기 위해서 조폭 두목들끼리 사전에 짜고 ‘패싸움’을 하자고 하고, 그걸 생중계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또 “(조폭들끼리 패싸움을 한 후) 서로 고소·고발하고, 경찰이 수사하는 내용까지 다 유튜브로 방송한다”면서 “처벌을 회피하기 위해 처벌받기 직전에 합의를 해버린다. 합의를 하면 처벌을 못 하는 점을 이용해 공권력을 조롱하고, 심지어는 수사하는 형사들을 고소·고발도 한다더라”고 덧붙였다.
조 의원은 이같은 형태의 조폭 유튜브가 급증한 배경은 결국 ‘금전적 수입’이 핵심이라고 짚었다. 조 의원은 “전직 조폭들은 징역 생활을 하고 나와서 나이가 많고, 유흥업소 관리를 한다든가 도박장 보호비를 갈취한다든가 하는 수입이 점차 감소하니까 범죄 수법이 지능형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결국 도박 사이트 운영, 보이스피싱과 함께 조폭 유튜브도 하나의 수입원 역할을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조 의원은 자신의 지역구 주민으로부터 받은 문자가 이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지역구 주민이 문자를 통해) 아이들이 조폭 유튜브를 보고 이래서 너무 걱정스럽다기에 제가 조사하기 시작한 것”이라며 “청소년이 ‘제가 일진인데 제가 조폭을 할 수 있을까요’ 이렇게 댓글에 물으면 (조폭 유튜버가) 답을 해준다”는 실태를 전하기도 했다.
조 의원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청소년들이 모방범죄를 할 수도 있고, 제재를 하지 않으면 더욱 늘어날까 걱정된다”며 “현재는 조폭 유튜버의 행위 자체에 대해서 검열하는 근거 규정이 없고, 실제 범죄를 했을 때 사후적으로 처벌할 수 있을 뿐”이라 말했다. 그는 “방송통신위원회와 구글 등의 협조를 얻어서 (시청 가능한) 연령에 제한을 둔다든가 아주 심한 폭력성과 선정성이 있는 방송을 못 하게 하고 삼진아웃제를 도입하는 등의 입법이 필요하다”며 국회 차원에서의 대안 논의를 주문했다.
류동환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