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정보기술(IT)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 계열사들이 지난해 각각 1조원대 내부거래를 한 것으로 12일 드러났다. 이들 기업의 계열사는 수년 사이 폭증했는데, 금융계열사들의 내부거래 규모 증가가 특히 두드러졌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지난해 네이버 전체 내부거래 규모는 1조1503억6900만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 4960억600만원에서 2.3배 증가한 것이다.
카카오는 네이버 이상의 증가세를 보였다. 카카오 전체 계열사 간 내부거래 금액은 2017년 224억1100만원에서 지난해 1조4692억7400만원으로 약 7.3배 늘어나며 네이버를 넘어섰다.
금융계열사들의 거래 규모가 급증한 영향이 컸다. 네이버의 금융 분야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과 라인파이낸셜플러스의 지난해 내부거래액은 1121억원으로 집계됐다. 2년 전인 2019년(133억원)과 비교하면 약 9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2020년 808억원에서 40% 이상 증가했다.
카카오도 마찬가지다. 카카오 금융계열사인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증권 3개사의 지난해 내부거래액은 1588억원으로 확인됐다. 2020년 985억원에서 한 해 만에 61%(603억 원)나 늘어난 것이다. 다른 금융계열사를 제외한 카카오페이 내부거래액만 보면 2017년 93억원에서 지난해 1382억원으로 15배가량 늘었다.
최 의원은 네이버와 카카오 계열사 간 내부거래 규모가 급증한 이유를 계열사 수 증가 때문으로 지적했다. 계열사 간 내부거래 자체가 불법은 아니더라도, 시장 지배력을 갖는 특정 기업집단의 사업 영역이 과도하게 넓어지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취지다.
실제로 네이버 계열사 수는 2018년 45개, 2019년 42개, 2020년 43개, 지난해 45개 수준이었다가 올해 54개로 증가했다. 카카오는 2018년 72개였던 계열사를 2019년 71개, 2020년 97개, 지난해 118개, 올해 136개로 계속 늘려 왔다.
최 의원은 “네이버와 카카오가 급격히 성장하면서 각각 포털과 메신저 등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대량으로 수집해 온 만큼, 이런 정보들이 부당하게 내부거래에 활용되면 자칫 크나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빅테크의 지배적 기능이 강화되고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감독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적한 내용에 대해 내부적으로도 고민이 있다”면서 “빅테크들이 자회사들의 상품을 몰아주거나, 그 과정에서 불공정거래가 이뤄지면서 시장경쟁을 저해하지 않도록 잘 살펴보겠다”고 답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