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교육차관 “자율평가 확대, 일제고사·전수평가 부활 아냐”

입력 2022-10-11 15:51 수정 2022-10-11 16:34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1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11일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을 통해 일제고사나 전수 평가를 부활하겠다는 의미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각 학교의 의무 참여가 아니라 자율 참여에 방점을 둔다는 것이다.

장 차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을 발표하며 이같이 답변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 오전 “지난 정부에서 폐지한 학업성취도 전수평가를 원하는 모든 학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이 언급한 ‘지난 정부에서 폐지한 전수평가’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의미한다.

현재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전체 학생의 3%만 표집해 실시되고 있는 이 평가는 그대로 두고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자율평가)를 추가로 시행한다는 설명이다.

장 차관은 “전수평가에 대해 지난 정부에서 폐지했다는 거를 (대통령이) 강조하면서 전수평가라는 용어가 나왔다”며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는 데 있어서는 원하는 학교, 또 참여를 희망하는 학교를 기반으로 해서 저희가 시행하겠다”고 해명했다.

그는 또 “전국의 학교들 중에 원하는 학교들이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스스로의 결정에 의해서 참여를 하고 있다”며 “그 제도를 이대로 확대, 유지하면서 그 대상들을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연차적으로 확대하고 들어오는 것은 스스로 자율적으로 결정해서 희망하는 학교, ‘원한다면 모두 다 받아주겠다’ 라는 의미로 이해해 달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이날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등을 원하는 학교가 자율적으로 시행하도록 참여 가능 대상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가 기초학력을 진단하는 것은 재량규정으로 돼 있지만 특별하게 하지 말아야 할 이유가 없는 한 해야 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장 차관은 재차 관련 질문이 나오자 “이번 정부의 기초학력보장 종합계획에서 하려는 것은 전수평가라는 것을 강조하기보다는 ‘원하는 모든 학교가 참여하는 평가’라는 점으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