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청년예술인 지원 정책 부재…“맞춤형 정책 필요”

입력 2022-10-09 12:02 수정 2022-10-09 12:07

인천 청년예술인을 육성·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정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인천시와 인천연구원 등에 따르면 인천 청년예술인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은 기관별 단위사업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별도의 법률과 정책이 마련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청년 또는 예술인 정책의 하위 범주로만 사업들이 다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인천시의 청년정책 시행계획에서조차 80개 과제 중 청년예술인 지원사업은 2개에 불과했다.

반면 서울, 경기, 광주, 전남 등은 청년예술인을 육성하거나 지원하기 위한 조례를 두고 있다. 서울의 경우 조례를 근거로 청년예술인을 위한 청년예술청, 서울청년예술인회의 등을 운영 중이다.

인천연구원은 최근 ‘인천시 청년예술인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를 통해 청년예술인 정책 수요를 반영한 인천시의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청년예술인 활동 지원에 초점을 두고 창작 생애주기별 지원사업 확대, 창작·발표·연습 공간 확충 및 지원, 네트워킹 프로그램 강화 등을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연구원이 연구에서 함께 분석한 청년예술인의 대표적 특성은 활동의 역동성과 지원의 취약성이다. 청년예술인은 기존 장르 중심 예술의 경계를 뛰어넘어 내용적·방법론적 차원에서 활동 범위를 확장해 나가는 특징을 보인다. 경력 부족 등으로 예술인 지원 정책의 자격 요건을 충족하기 어려운 특징 역시 갖고 있다.

인천연구원은 이 같은 분석을 근거로 일관성 있는 데이터 축적을 위한 청년예술인 실태조사·연구, 문화재단 설립 유·무에 따른 형평성 문제 해소를 위한 군·구별 지원체계 강화, 인천문화재단 내 관련 부서 인력 확대 등도 필요하다고 봤다.

최영화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까지 청년예술인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정책은 미비하다”며 “청년예술인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