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강릉 일대에서 발생한 우리 군의 미사일 낙탄사고가 늦게 보도된 이유가 엠바고때문이었다는 주장에 대해 부승찬 전 국방부 대변인이 “궁색한 변명”이라며 비판했다.
부 전 대변인은 6일 오전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군 전문가로서 이번 낙탄사고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그는 ‘7시간 동안 군이 침묵한 것은 적절하지 않은 대응 아니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그것은 명확하다”고 말했다.
이어 자신이 문재인정부에서 일했던 경험을 들어 “(이런 경우) 이전 정부에서는 바로 긴급회의가 소집된다”며 윤석열정부의 대응이 부적절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방부 홍보훈령이라는 게 있다”며 “극히 중한 사고, 중한 사고, 경한 사고로 구분해서 공개시점을 명시해놓았고 이번 낙탄사고 같은 경우 중한 사고에 해당되는데 이 경우 최단 시간에 발표한다고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안의 언론대응을 한 합동참모본부가 스스로 홍보 관련 훈령을 어겼다는 설명이다. 실제 국방홍보훈령 제25조는 “‘중한 사고’ 이상은 오보 또는 왜곡보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단 시간 내에 발표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부 전 대변인은 “(사고) 다음 날 아침까지 설명도 전혀 안 된 상태에서 또 굉음을 내면서 지대지미사일이 발사된 것 또한 상당히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현무-2C가 낙탄한 후 사고 사실이 공개조차 되지 않았는데 에이태큼스를 잇따라 발사해 국민들을 불안에 떨게 했다는 비판이다. 그는 “국민들은 ‘전쟁이 난 게 아니냐’ 하는 상황이고 (낙탄된) 탄두가 안전 조치가 돼 있는지조차 애매모호한 상황에서 또 에이태큼스를 사격했다는 것은 좀 이해가 안 되는 행위가 아닌가”라며 군의 조치가 국민들의 불안을 가중시켰다고 꼬집었다.
특히 부 전 대변인은 미사일 사격 자체가 엠바고(보도 유예) 사안이라 낙탄 사고가 보도되지 못했다는 해명에 대해 “궁색한 변명”이라며 날을 세웠다. 그는 “사고에 대한 엠바고가 아닌데 훈련과 이 사고를 동일시하는 것”이라며 “국민의 안전을 위해할 수 있는 상황이고 그러면 최소한 국민들에게 이걸 통보해줘서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은 충분히 줬어야 한다. 지금 정부의 행위는 보도유예하고는 관계가 없는 것”이라 직격했다.
이번 미사일 낙탄사고에 대한 정부의 대응을 놓고서는 여야할 것 없이 십자포화를 쏟아내는 형국이다. 이날 국회 국방위에서 합동참모본부에 대한 국정감사가 예정돼 있어 군의 대응을 둘러싼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류동환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