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원·달러 환율 급등을 방어하기 위해 외환 당국이 달러화를 시장에서 매도하면서 외환보유액이 한 달 사이 200억 달러 가까이 급감했다.
한은이 6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167억7000만달러로, 8월 말(4364억3000만달러)보다 196억6000만달러나 줄었다.
금융위기 당시 2008년 10월(274억달러) 이후 1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과거와 비교해 외환보유액 규모 자체가 커졌기 때문에 9월 감소율(-4.5%) 자체는 역대 32번째 수준에 그쳤다.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 급감에도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세계 8위 규모로 충분해 외환 위기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통상적으로 월별 외환보유액 통계를 발표하면 별도 언론 브리핑(설명회)을 하지 않는다.
이번 9월 통계의 경우 외환보유액의 감소폭이 커 오금화 한은 국제국장이 직접 기자들의 질문에 답했다.
오 국장은 외환보유액을 사용한 환율 방어가 성공적이었는지 묻는 질문에 “우리가 특정 환율을 타깃(목표)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국내 외환시장에 수급 불균형이 있는 경우 시장 기대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해 개입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외환 시장이 기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오 국장은 외환보유액의 적정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저희(한국은행) 생각으로 현재 외환보유액은 충분하다”고 답했다.
이어 “외환당국의 외환보유액 뿐 아니라 2014년부터 순대외금융자산 보유국으로서 국내총생산(GDP)의 37%에 이르는 대외자산도 갖고 있다”며 “지난달 말 신용평가기관 피치도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같은 신용등급 국가들과 비교해 건실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고 덧붙였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