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국정감사를 기해 야권의 공세 수위가 높아지는 데 대해 ‘즉각 대응’ 기조로 맞서고 있다.
대통령실은 김은혜 홍보수석이 임명된 뒤 언론의 의혹 보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라는 형식으로 해명 또는 반박 공지를 내왔다. 특히 국감을 전후한 최근 들어서는 대응 강도가 더 강해지고 시점도 빨라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의원실을 중심으로 의혹 제기가 쏟아지자 확산을 조기 차단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의 영·미·캐나다 순방 중 ‘비속어 논란’ 등으로 지지율이 급락한 데 대한 불안감도 읽힌다.
대통령실은 지난 21일부터 보름간 대변인실 명의로 각종 의혹 제기에 대한 반박 공지를 모두 합쳐 10건 게시했다.
대통령실 이전 예산 관련 의혹과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에 대한 반박이 대부분이었다.
대통령실은 특히 민주당이 ‘대통령실 이전 비용 1조원’이라는 프레임을 들고 나온 데 대해 “비용 왜곡은 못 참는다”며 강하게 대응하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달 30일 ‘국가 영빈관 신축’, ‘합동참모본부 이전’ 비용 등 대통령실이 이동하면서 모두 합쳐 1조794억원의 국가 예산이 소요된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실은 당일 오후 “이미 철회가 확정된 영빈관 신축 비용까지 포함돼 있는 일방적 주장”이라며 “합참 이전 비용 등은 예산안에 포함된 금액도 아니다”고 반박했다.
대통령실은 민주당의 주장이 이어지자 4일에도 거듭 해명 공지를 내 “진상 규명이란 미명 하에 국민들께 사실과 다른 내용을 주장하는 데 대해 깊은 유감”이라며 “이전 비용을 부풀리면서 다시 청와대로 돌아가라는 민주당의 주장은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대응했다.
정부 최대 치적 중 하나인 청와대 반환과 용산 대통령실 이전을 민주당이 의도적으로 흠집 내려 한다는 것이 대통령실의 인식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민주당 정권은 하지 못했던 대통령실 이전을 윤석열정부가 해낸 것에 대해 민주당이 치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통령실이 즉각 대응 기조에 나선 배경에는 민주당 측 일방 주장이 유튜브 등 SNS에서 확산되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이 깔려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윤 대통령이 순방에서 ‘비속어 논란’을 자초해 지지율이 급락하고 야권 공세가 강화되자 ‘더 이상 밀릴 수는 없다’는 절박함도 감지된다.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가짜뉴스에 바로바로 대응하지 않으면 온라인에서 순식간에 퍼져버린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의혹 제기에 대한 기민한 대응을 위해 새벽부터 언론 모니터링 또한 진행하고 있다.
한편 윤 대통령은 경북 상주 스마트팜혁신밸리에서 9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며 “청년들은 우리 농업의 혁신 동력”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농업은 중대한 전환기에 있다. 정부는 농업인과 함께 농업이 새 미래를 향해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역량을 가진 청년들이 스마트농업 기술을 배우고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상당히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 앞서 딸기와 토마토를 재배하는 스마트팜을 직접 둘러보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온실을 제어하고 또 로봇까지 활용하는 모습에서 우리 농업의 미래를 봤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은 또 “청년들의 농업 창업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임대 농지 확대, 창업자금 상환기간 연장 및 대출금리 인하, 농촌 ‘아이돌봄 임대주택’ 확충 등을 약속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