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김정숙 인도 방문, 한국 먼저 요청”… 野 “비열”

입력 2022-10-05 05:39 수정 2022-10-05 10:36
문재인 전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2018년 11월 7일 인도 타지마할을 방문했다. 당시 청와대는 김 여사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초청장을 받고 방문한 것이라고 밝혔다. 뉴시스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의 2018년 인도 방문을 두고 여야가 또 입씨름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국정감사 질의에서 김 여사가 인도 정부의 공식 초청을 받고 갔다는 청와대 입장은 사실과 다르며 실제로는 한국 정부에서 먼저 김 여사 방문을 요청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비열한 질문”이라며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정진석 ‘버킷리스트 외교’ 공세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4일 국정감사장에서 김 여사가 인도를 방문할 당시 한국 외교부의 의사 타진이 있었다는 보도를 언급하며 “영부인의 세계 일주 꿈을 이뤄준 ‘버킷리스트 외교’”라고 비판했다.

정 위원장은 박진 외교부 장관에게 “당시 영부인 혼자서 전용기로 인도를 다녀오셨는데, 인도 정부의 공식 초청이 있었다고 하니까 논란이 더 확대되지는 않았다”며 “그런데 진실은, 한국 측이 먼저 김 여사의 인도 방문을 요청했고 불과 사흘 만에 수억원의 예비비까지 처리해서 방문이 이뤄졌다”고 질의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2018년 11월 7일 인도 타지마할을 방문했다. 당시 청와대는 김 여사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초청장을 받고 방문한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이날 TV조선은 2018년 9월 외교부 문서를 인용해 인도 관광차관이 도종환 당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초청했고, 한국 외교부가 이후 김 여사의 참석을 타진했다고 보도했다. 전용기 비용 2억5000만원을 포함한 순방 관련 예산 4억원이 사흘 만에 신속하게 배정됐다는 내용도 보도에 포함됐다.

외교부 관계자는 인터뷰에서 “원래 장관 방문이었다가 영부인이 함께 가는 것을 우리 측이 얘기를 했고, 10월 중순에 인도 쪽에서 맞춰서 초청장이 모디 총리 명의로 온 것”이라고 말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김 여사를 먼저 초청한 게 아니라 한국 정부가 김 여사 참석을 희망하자 인도 측에서 그에 맞게 초청장을 보내왔다는 취지였다.

정 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우리 정부에서 먼저 인도 순방을 요청했다고 보도한 한 언론사에 허위 정정보도 소송을 냈다가 1심에서 패소했고, 항소도 취하했다”며 “제가 발언한 게 틀리다면 뒤에 계신 외교부 관계자 손 들어보라”고 강공을 폈다.

이에 박 장관은 “구체적으로 파악을 해봐야되겠습니다만, 좀 통상적으로 있기 힘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자 정 위원장은 “김건희 여사가 이렇게 외국 나가면 무슨 일이 벌어지겠나. 광화문 촛불시위 하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민주 “비열한 질문” “왜곡” 반발
민주당은 거세게 반발했다. 김경협 민주당 의원은 정 위원장을 겨냥해 “당대표가 체신을 차리라. 그게 국회부의장인가. 말을 그리 함부로 하나”라며 “제대로 알고 질의를 하든지, 그렇게 질문을 하면 지금이 어느 정부인데 대답을 하나. 도대체 그렇게 비열하게 질문을 하나”라고 날을 세웠다.

조정식 의원은 “인도 측에서 힌두교 최대 축제인 ‘디왈리 축제’와 ‘허황후 기념공원’ 착공식에 문 전 대통령을 초청한 건데, 문 전 대통령이 인도를 갈 수 없는 상황이어서 인도 측에서 다시 김 여사 초청을 다시 제안해온 것”이라며 “사실관계가 이렇다는 것을 분명히 말씀드리고, 이를 정치적으로 왜곡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반박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곧바로 재반박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타지마할 소동’은 민주당이 옹호할 수 없는 건”이라며 “처음에는 문 전 대통령을 오라고 했겠지만, 목적이 허황후 (기념공원) 건이라서 도종환 문체부 장관을 오라고 한 것이고 한국 측이 ‘김 여사도 가니까 초청장을 보내달라’고 푸시를 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이어 “문제는 지극히 사적인 욕망을 지극히 공적 수단을 총동원해서 갔다는 것”이라며 “최근 김건희 여사를 향한 공격이 유난히 강도가 센데, 우리가 의정활동을 항상 ‘내로남불’하지 않고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