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간 이견을 좁히지 못해 총파업을 선언했던 경기도 버스 노조가 협상 시한을 넘긴 30일 새벽까지 추가 협상을 벌인 결과 극적 타결을 이뤄내 예고한 파업을 철회했다.
이날 추가 협상이 첫 차 출발 시간인 오전 4시 이후까지 진행되며 일부 노선의 첫 차는 운행되지 못했지만, 극적으로 합의를 이뤄내면서 우려됐던 출근길 교통대란은 다행히 발생하지 않았다.
버스 노동자 단체인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이하 노조협의회)는 이날 오전 2시쯤부터 수원시 한국노총 경기본부 사무실에서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과 2시간여 동안 추가 협상을 진행했다.
이 협상에서 양측은 공공버스와 민영제노선 버스 기사 임금을 5% 인상하는 안에 합의했다. 또 근로 여건 개선을 위해 14일 전에 배차 근무표를 작성하는 것과, 유급휴일에 수당을 지급하는 단체협약 개정안에도 합의했다. 이에 협의회는 이날 예고했던 파업을 철회하고 정상적으로 버스 운행을 시작했다.
앞서 협의회는 전날 오후 3시부터 경기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 중재로 사측과의 최종 조정회의를 가졌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해 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총파업을 선언했다.
그러나 지노위 등의 중재로 노사 양측이 추가 협상 자리를 마련했고, 오전 4시쯤 김동연 경기지사가 협상장을 찾아 직접 중재에 참여하면서 분위기가 급변하면서 극적인 합의까지 이뤄졌다. 김 지사는 이날 협상장에서 임기 내에 준공영제를 전 노선에 시행하고, 타 수도권 지역과의 임금 격차 문제도 해소하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협의회 관계자는 “재협상 초반부터 김 지사가 현장에 파견된 공무원들을 통해 공약 이행 의지를 전달해왔고, 나중에는 직접 방문까지 했다”며 “준공영제 전면시행에 대해 도지사의 확답을 받을 수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노사가 약속한 사안들에 대해 경기도는 충실하게 지켜나갈 것이며 극적인 합의를 이뤄낸 노사 양측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 27일 도지사 임기 내 준공영제 전면 확대 추진, 시·군 간 노선은 도 주관으로 준공영제 전환, 시·군 주관으로 전환된 준공영제 노선에 대한 재정 지원 등이 담긴 중재안을 발표한 바 있다.
경기도는 준공영제 전환 대상인 시내버스가 7000여대 규모일 것으로 보고 있으며, 준공영제 확대 시 7000여명의 추가 고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을 위한 재정 지원 규모는 연간 5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