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4등급 경유차 서울 사대문 안 운행금지된다

입력 2022-09-28 15:41

2025년부터 4등급 경유차도 서울 사대문 안 운행이 제한된다. 배달용 오토바이와 마을버스, 택배 화물차도 전기차로 전환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8일 서울시청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기질 개선 종합대책 ‘더 맑은 서울 2030’을 발표했다. 2007년 오 시장이 발표했던 ‘맑은 서울 2010’의 후속편으로 경유차 퇴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관리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시는 2030년까지 3조8000억원을 투입해 시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우선 5등급 경유차 운행제한을 현행 녹색교통지역(사대문 안·연중), 서울 전역(계절관리제 기간)에서 2025년 서울 전역·연중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전국 최초로 4등급 경유차도 녹색교통지역 운행을 제한하고, 2030년에는 서울 전역으로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4등급 경유차는 2006년 배출가스 기준(유로4)이 적용된 차량으로, 3등급 차량보다 6배 많은 미세먼지를 배출한다. 서울 내 저공해 조치가 되지 않은 4등급 경유 차량은 8만1139대에 달한다. 운행 제한에 앞서 내년 하반기부터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4등급 차량 운행제한을 시범 실시한다.

또 매년 1만대씩 4등급 경유차의 조기 폐차 비용(대당 400만원) 지원 사업도 시작한다. 2035년에는 모든 내연기관 차량의 녹색교통지역 운행을 제한하고 신규등록을 금지한다.

경유차의 저공해 차 전환 작업도 속도를 낸다. 배달용 오토바이(3만3400대)는 2025년까지, 경유 마을버스(457대)와 택배 화물차(6100대)는 2026년까지 모두 전기차로 교체한다. 경유 청소차(2373대)는 2030년까지 차례로 교체한다.

시는 배달 플랫폼과 협업해 전기 이륜차를 이용하는 배달노동자에게 저렴한 보험 상품을 제공한다. 또 2025년까지 서울 전역에 공중전화부스를 활용한 배터리 교환형 충전소 3000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전기차 충전기 22만기 구축, 전기차 40만대 보급 등을 통해 2026년 전기차 10% 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