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도시·농어촌 간 도시 계획과 인구 변화에 따른 공간 구조 개선 등 지속 가능한 미래도시 실현에 나선다.
경남도는 2025년까지 시·군별 전략 사업 종합 계획과 도시·농어촌공 간 도시 계획 모델 개발 등 ‘2045경남도 도시정책 마스터플랜’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도시정책 마스터플랜’은 도시 정책 총괄·기획기능 강화를 위해 지역 특성과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사업 차별화와 저출산·고령화를 고려한 공간 구조 개선, 도시 공간에 대한 정책 방향 등이다.
특히, 인구 변화에 따른 도시 경쟁력 및 생활권 기능 강화를 위해 인구·주택, 인문 환경 및 자연환경, 경제·사회·문화·환경적 특성을 포함한다.
또 시·군별 정책·전략계획, 공간구조 구상, 기능 분담 계획, 개발과 보존 지역을 구분하는 토지 이용 계획, 교통·물류·녹지·경관 등 부문 별 계획을 반영한다.
이 외 도시·농어촌형 도시 계획 발전 신 모델 개발로 시·군별 지침 제시와 도시 계획 제도를 개선해 경남의 장기적인 균형 발전과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허동식 도 도시주택국장은 “이번 계획은 최상위 도시 계획으로 도시 정책 기능 강화와 도 내 전 시·군의 경쟁력 있는 핵심 전략 사업을 구체화해 도민이 바라는 미래 공간 구성을 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