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시의 최대 현안인 신청사 건립 계획이 원점에서 다시 추진된다. 97억원을 들여 국제공모를 통해 선정된 설계작을 취소하고 설계 재공모로 가닥을 잡았다.
신청사 건립 태스크포스(TF)는 27일 임시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민선 7기에 존치하기로 한 본관동을 철거하고 설계를 재공모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TF팀장을 맡은 송태진 교수(충북대 도시공학과)는 “디자인을 중시한 기존 설계안은 곡면 유리와 루버 설치 등으로 인한 과다한 공사비가 소요되고 청주시의회 별동 건립에 따른 추가 공사비 160억원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송 교수는 “설계를 변경할 경우 기존 설계업체의 특혜 우려, 기존 콘셉트의 설계 변경 한계 등이 우려된다”며 “기존 설계안의 불합리한 설계를 개선해 재공모하면 설계변경으로 청사를 건축하는 것보다 218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송 교수는 “재공모를 할 경우 부지 전체를 활용한 효율적 설계가 가능하며 기존 설계안에 비해 공사비와 유지·관리비가 절감된다”며 “본관 존치를 대전제로 한 기존 설계안을 변경하는 것보다 처음부터 다시 설계하는 방안이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설계를 다시 할 경우 완공 시기는 2025년 10월보다 3년 이상 지연될 전망이다. 설계 재공모 등을 거쳐 2025년 8월쯤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재공모 비용은 110억원으로 추산된다. 건축비용은 건축 자재값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당초 2750억원에서 320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 설계안은 지난 2020년 7월 국제공모를 통해 노르웨이 스노헤타 건축사사무소 소속 건축가 로버트 그린우드의 작품으로 선정됐다. 현재 마무리 단계인 실시설계까지 일부 미집행 금액을 포함해 97억700만원의 비용이 소요됐다.
본관동은 존치와 철거 논쟁 끝에 철거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본관동을 철거하되 터 살리기, 핵심 축 보존, 잔재 살리기, 메타버스 보존 등의 대안을 내놨다. 본관동은 1965년 3층으로 건립된 뒤 1983년 4층으로 증축됐다. 이 건물은 근현대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공공건축물로 분류돼 문화재청으로부터 문화재 등록 권고를 받으면서 민선 7기 한범덕 전 시장 체제에서 존치하기로 결정됐다.
청주시 신청사는 지금의 청사와 주변에 지상 5층, 지하 2층 규모(연면적 2만197여㎡)로 건립될 예정이었다. 청사 부지에 포함된 청주병원이 퇴거를 불응하면서 명도소송도 진행되는 중이다. 현재 임시청사로 활용 중인 문화제조창 등의 임대료는 월 2억6000만원씩 지출되고 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