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다음 달부터 전국 최초로 스토킹 피해자 전용 보호시설을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기존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리모델링해 여성용 2개소, 남성용 1개소 등 3곳의 스토킹 피해자 보호시설을 운영할 예정이다. 여성은 10명까지, 남성은 4명까지 이용할 수 있다.
스토킹 피해자 보호시설은 가해자의 주거침입 위험으로부터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곳이다. 여기에 트라우마 등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결합해 피해자의 일상 회복을 지원한다. 기초·광역자치단체 중 처음이며 남성 피해자 보호시설 역시 최초다. 시 관계자는 “과거에는 임시 숙소 외에 별다른 보호시설이 없어 피해자들이 노숙인 보호시설로 보내지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또 스토킹 피해자의 경우 자녀와 함께 입소하는 가정폭력 피해자 등과 공동생활을 해야 해 생활에 불편을 겪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보호시설에서는 안전한 공간에 거주하며 출퇴근, 외출, 휴대전화 사용 등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내년부터는 심리·법률·의료 및 동행 지원 등 스토킹 피해자를 위한 맞춤형 원스톱 지원서비스도 시행된다. 스토킹 피해자가 여성긴급전화(1366)로 신청하면 출퇴근 동행, 비상벨 등 장비 제공, 정보제공 플랫폼 안내 등 필요한 서비스를 한 번에 안내받을 수 있다. 나아가 2024년엔 스토킹 피해자 원스톱(통합) 지원센터를 설치해 전문적인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내년 상반기부터는 3년 주기로 스토킹 폭력 실태조사에도 착수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 동작구 ‘여성긴급전화 1366 서울센터’에서 전문가 간담회를 갖고 스토킹 피해 예방부터 피해자 지원에 이르는 대응체계를 점검·논의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