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우리 민간단체 등을 대상으로 대북 전단 살포 시 수사당국에서 조사와 수사에 나설 것이라며 자제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북한의 대북 전단 발 코로나19 유입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라며, 이에 대해 보복할 시 엄정 대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효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그동안 민감함 남북관계 상황 등을 고려해 대북전단 살포 자제를 요청했지만 일부 단체의 대북 전단 등 살포가 지속하고 있다”며 “불필요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행위를 자제해달라”고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또 “전단 등을 살포할 경우 수사 당국에서 해당 사항을 조사하고 수사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방침은 그동안 여권이 대북 전단 살포를 법적으로 금지하거나 처벌하는 데 부정적이었던 것에 비춰보면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
이 부대변인은 대북 전단 살포 자제를 촉구한 배경을 묻는 말에 “전단 살포와 관련된 북한의 어떠한 위협과 도발에 대해서도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것임을 분명하게 알림으로써 북한의 오판을 막고자 하기 위함도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북한은 ‘코로나19 최초 유입 원인이 대북 전단’이라는 주장을 펼치며 남한을 향해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위협한 바 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달 10일 육성 연설에서 대북전단을 코로나19 유입 원인으로 지목하면서 “적들이 공화국에 비루스(바이러스)가 유입될 수 있는 위험한 짓거리를 계속 행하는 경우 비루스는 물론 남조선당국 것들도 박멸해버리는 것으로 대답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통일부는 이에 대해 “과학적 근거가 없고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매우 부적절하고 유감스러운 일이며, 정부는 북한의 어떤 위협과 도발에 대해서도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탈북민 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지난 4월 25일과 26일 대북 전단을 보냈다. 윤석열정부가 출범한 후인 6월 5일에는 ‘당분간은 대북 전단이 아닌 의약품을 보낼 방침’이라고 밝혔다. 단체는 이후 6월 28일, 7월 6일, 그리고 지난 4일 코로나19 관련 의약품과 마스크 등을 대형 풍선에 매달아 북한으로 날려 보냈다고 주장했다.
박성영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