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23일 민간단체들에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자제해줄 것을 촉구하며, 전단 살포시 엄정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효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정부의 거듭된 자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일부 단체의 대북전단 등 살포가 지속되고 있다”며 “전단 등 살포행위를 자제해줄 것을 재차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정부는 그동안 민감한 남북관계 상황 등을 고려해 살포를 자제해 줄 것을 민간단체에 지속 요청해왔다”며 “불필요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해당 행위의 자제를 재차 촉구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고 말했다.
이어 “실질적으로 전단 등을 살포하게 될 경우에는 수사당국에서 해당 사항에 대해서 조사하고 수사해 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강경 대응 방침을 시사했다.
현 정부 들어선 남북관계의 민감성 등을 고려해 자제를 요청하는 정도였지만, 이번엔 수사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자제 당부의 강도를 높인 것이다.
통일부는 북측이 북한 내부 코로나19 확산의 책임을 대북전단에 전가하는 것에 대해선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북측이 전단 살포를 빌미로 도발에 나설 경우 강력히 대처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북한이 코로나 확산 책임을 대북전단에 전가하고 있는 것은 과학적 근거가 없고 전혀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며 “북한이 사실 왜곡 및 우리 국민들에 대한 보복 조치 등을 언급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고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북한의 어떠한 위협과 도발에 대해서도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달 대북전단을 북한 코로나19 유입의 원인으로 지목하며 “아주 강력한 보복성 대응을 가해야 한다”고 위협한 바 있다.
북한이 대북전단에 적극 반발하는 상황에서 일부 단체들이 다음 주 ‘북한자유주간’을 계기로 대북전단을 살포할 가능성이 제기되자 정부가 선제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