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버스 30일부터 멈추나…버스노조협 ‘파업 가결’

입력 2022-09-20 20:28

경기도 전체 노선 버스의 90% 이상이 속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가 20일 투표를 통해 97.3%의 찬성률로 총파업을 가결했다. 투표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협의회 소속 버스업체별로 진행됐다.

투표에는 전체 조합원 1만5234명의 95.1%인 1만4484명이 참여했다. 찬성표는 1만4091표(97.3%)가 나왔다.

이에 따라 경기지역 버스 노사는 총파업 돌입까지 두 차례의 경기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 노동쟁의 조정회의만을 남기게 됐다. 조정 기한인 오는 29일까지 노사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노조는 30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갈 방침이다.

앞서 협의회는 지난 14일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과의 단체 교섭 최종 결렬에 따라 지노위에 노동쟁의조정을 신청했다.

교섭에 참여한 버스업체 47곳이 운행 중인 버스는 1만600여대(공공버스 2100여대, 민영제 노선 8500여대)로 경기지역 전체 노선 버스의 92%를 차지한다.

협의회는 장시간 운전 문제와 저임금에 따른 인력 유출 문제 해결을 위해 1일 2교대제 전환, 서울시 수준의 임금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최근 경유가 등 원자재비 상승에 따른 경영상 어려움을 토로하며 경기도가 나서 버스 사업의 근본적인 구조 개선을 이뤄주지 않으면 협의회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 15일 시내버스 노선 준공영제 전환과 임금 인상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경기도 시내버스 안정화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안에는 경기도가 광역버스에만 운영 중인 노선 입찰제 준공영제’를 2026년까지 시내버스 200개 노선으로 확대하고 준공영제 버스 기사의 임금을 서울·인천 수준으로 단계적 인상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다만 협의회는 경기도가 전체의 10%에 불과한 시계노선(2개 이상 시·군 간 운행 노선)만을 준공영제로 전환하려 한다며 전체 노선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요구 중이다.

협의회는 앞으로 23일 사측과 1차 조정회의를 갖고, 26일에는 경기도청 앞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 방침이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