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공사 “女 역무원 당직 줄이겠다… 가상순찰 도입”

입력 2022-09-20 14:48 수정 2022-09-20 17:43
'역무원 스토킹 피살 사건'이 발생한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당역 여자화장실 입구에 지난 18일 추모공간이 마련돼 있다. 연합뉴스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이 ‘신당역 스토킹 살인사건’과 관련해 “앞으로 여성 역무원의 당직을 줄이고, 현장순찰이 아닌 CCTV를 이용한 가상순찰 개념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 전체회의 업무보고에서 “문제 개선을 통해 안전 확보에 최대한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앞으로는 역사 사무실에서 CCTV를 통해 상황을 판단하고 이상 징후가 있으면 현장에 나가는 것으로 순찰시스템을 바꾸겠다”면서 “2년 전 호신 장비로 가스분사총을 지급했으나 사용에 문제가 있어 노사 합의로 회수한 적이 있다. 앞으로 최적의 호신 장비가 무엇인지 직원들의 의견을 듣고 보급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사장은 ‘신당역 사건 피해자가 불법 촬영, 스토킹으로 두 차례 신고했고, 공공기관에서 발생한 사건인데도 내용이 여성가족부로 통보되지 않았다’는 이기순 여성가족부 차관의 지적에 “서울 서부경찰서로부터 피의자인 전주환씨를 불법촬영 혐의로 수사한다는 통보만 받았다. 공문에는 가해자만 적시돼 있어 피해자가 누구인지 전혀 몰랐다. 우리 직원인 것도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또 전씨가 지난해 10월 직위가 해제됐음에도 내부 전산망에 계속 접속할 수 있었던 것을 두고 관리가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자 김 사장은 “직위해제는 중범죄가 아니더라도 고위직에 있는 사람들이 도의적 책임을 질 경우, 또는 가벼운 경범죄로도 될 수 있어서 정보를 풀어 놓았던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을 통해서 직위 해제된 사람에게 내부 전산망 접속을 차단하겠다”며 “징계는 최종심까지 간 이후에 했지만, 앞으로 이런 사건일 경우에는 1심 이후에 바로 징계하겠다”고 했다.

교통공사는 역사뿐 아니라 전동차 내 모든 객차에도 CCTV를 설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김 사장은 이를 설명하면서 “역사 내 특정 구역에 비상벨을 설치하는 ‘세이프티 존’도 확대하겠다. 비상벨이 현재 저희 역사 사무실에만 오고 있지만 인근 지구대나 파출소에도 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지하철공사에 274명 지하철 보안관이 근무하며 매일 일어나는 분쟁과 폭력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사법권이 없어 물리적인 제지밖에 못 한다”라며 “포괄적인 사법권이 아니라, 저희 작업장에서 일어나는 유형에 대해선 최소한의 사법권을 발동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지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