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 총회 교단지 기독신문을 폐간해야 한다는 내용의 ‘기독신문구조조정위원회’ 연구 보고서가 본회의에서 채택되지 않았다.
20일 107회 총회 둘째 날 오전 회무에서 예장합동 총대들은 기독신문 폐간을 허락하지 않고 경영 정상화를 위한 구조조정을 이어가기로 했다.
기독신문이 경영 악화로 매우 심각한 상황에 처했다고 보고한 구조조정위의 폐간 사유에는 ‘재정원장 열람거부’ ‘인사위원회 회의록 제출 거부’ ‘사업자등록증 발급 거부’ ‘제호 변경 발행 거부’ ‘기독신문 이사회 조정안 전면 거부’ 등이 담겼다. 구조조정위는 대안으로 기독신문 폐간 후 새로운 신문 창간을 제시했다.
회의장에는 반대 여론이 우세했다.
기독신문 이사라고 소개한 한 총대는 “폐간에 따르는 후속 조치도 마련하지 않고 무조건 폐간을 하라는 건 굉장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면서 “구조조정위가 절망적으로 보고한 것과는 달리 직원과 이사회가 자구책을 마련해 20여억원의 부채 중 많은 금액을 상환했고 경영 정상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총대도 “구조조정위가 폐간 처리를 수임받은 일이 없는 만큼 월권이고 절차상 중대한 하자도 있어 폐간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폐간은 전적으로 이사회 권한”이라며 선을 그었다.
회의를 진행하던 권순웅 총회장이 중재에 나섰다.
권 총회장은 “폐간은 많은 법적으로 여러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구조조정을 계속하면서 폐간은 피하자”면서 “앞으로의 구조조정을 총회 임원회에 맡겨 달라”고 제안했고 총대들은 이 안에 동의했다. 화성=글·사진
장창일 기자 jangc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