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이준석 제명되면? …선택지 가처분밖에 없어”

입력 2022-09-19 17:33
김용태 국민의힘 당시 최고위원이 지난 7월 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 모습. 연합뉴스

김용태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당 중앙윤리위원회가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해 제명 결정을 내릴 경우를 두고 “많은 국민이나 당원들이 정치적인 판단이라고 볼 것 같고, 이 전 대표의 선택지는 가처분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19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사회자가 ‘사법적 대응말고 정치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보냐’고 묻자 “늘 정치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가처분으로 이어지면 여당 내홍은 계속 이어지고, (이는) 국민적인 비극”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당대표 재신임 투표를 부쳐야 한다”며 “당대표를 윤리위가 징계하는 초유의 상황이기에, 궐위냐 사고냐로 판단하는 것은 오직 당원들의 판단이 있어야 한다. 당이 (재신임 투표)를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국민의힘 윤리위는 18일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 절차를 개시하기로 했다. 이 전 대표가 “양두구육”, “신군부” 등 표현을 써서 당의 위신을 훼손했다는 이유다. 현재 이 전 대표는 ‘당원권 정지 6개월’ 징계를 받은 상태다. 추가 징계가 이뤄질 경우 당적을 빼앗는 ‘제명’ 결정이 내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힘 이양희 윤리위원장이 1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중앙당 윤리위원회 시작 전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리위가 애초 예정된 회의 날짜인 28일보다 열흘이나 앞당겨 회의를 연 것을 두고 이 전 대표 징계를 서두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회의 전 기자들에게 “윤리위는 어느 상황에서도 절대 결정을 내리고 회의를 시작하지 않는다”며 “거듭 강조하는데 당헌 당규에 근거해 항상 회의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김 전 최고위원은 이에 대해 “우연이라고 믿고 싶지만, 마침 대통령이 순방을 위해 출국한 날짜였다. 우연이 계속되면 필연이라고 하더라”며 “일각에서는 가처분과 관련해 자격상실 효과를 가져오려고 하는 것 아니냐는 판단이 있고, 윤리위가 이런 효과를 생각하는 것 아닌가란 생각들이 있다”고 전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가 지난 14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당헌 효력 정지 가처분 심문에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그는 이 전 대표의 추가 징계 수위를 ‘제명’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법원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고 보시는 분들도 있다”며 “윤리위가 제명 절차를 밟으면 진행 중인 3·4차 가처분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법원은 진행 중인 사건에 대한 윤리위의 증거 조작 행위로 볼 수 있다는 판단이 있는 것 같다”고 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윤리위가 추가 징계 사유로 든 ‘양두구육’과 같은 모욕적 표현 행위에 대해 “(윤리위가) 어제 당 소속 의원이나 당원들에 대한 모욕적 표현을 통해 당의 통합을 저해한다는 근거를 댔는데, 당 통합을 저해한 사건 중 하나가 내부총질 문자였다”고 반박했다.

이어 “이렇게 중차대한 문제(내부총질 문자)를 두고 두 달이 지나는 시점에 당사자인 대통령의 직접 입장 표명이 없고, 윤리위도 잣대를 숨기고 있다”며 “과거에도 이 전 대표를 향해 사이코패스나 양아치라고 모 의원들이 표현했음에도 윤리위가 어떤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윤리위가 외압을 받는 것 아니냐는 생각들이 있다”며 “잣대가 한쪽으로 치우쳐진 것 아니냐는 추측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외압의 대상으로 인식되는 윤핵관을 향해서 “정치력이 없거나 오만하다”고 일갈하기도 했다.

그는 “법원의 1차 가처분 인용 이후 당헌·당규를 개정할지 몰랐다”며 “이준석 대표를 사퇴시키거나 최고위원 5명 중 4명이 사퇴하면 비상상황이라고 개정할 것이 아니었다. 나머지 1명인 저에게 사퇴를 설득해야 민주적이라 봤는데, 그런 과정 없이 오만하게 밀어붙였다”고 비판했다.

이지민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