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트램’ 경제성 검토 작업 착수

입력 2022-09-19 12:49 수정 2022-09-19 14:42
독일 라인란트팔츠주의 한 도시에 설치된 트램.

제주도가 트램 도입을 위한 경제적 타당성 검토 작업에 착수했다.

도는 사업비 5억원을 들여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제주도 트램 도입을 위한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을 의뢰했다고 19일 밝혔다. 용역 기간은 내년 9월까지 1년 간이다.

이번 용역에서는 지난해 제주도가 확정 고시한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에 포함된 제주국제공항-원도심-제주항 및 제주항-신제주 연결 노선 총 18㎞를 포함해 도 전역을 대상으로 경제성이 있는 노선을 도출한다. 지역 범위나 주 이용 대상에 대한 구분은 두지 않기로 했다.

트램 도입 시 기존 한 개 차선을 점용해야 하는 도로 확장 문제를 비롯해 버스 등 다른 교통수단과 연계성에 대한 분석도 진행할 예정이다.

수소트램과 전기트램 중 무엇이 더 적정한 지 도입 모델과 자금 조달 방안에 대한 검토도 이뤄진다.

도는 내년 하반기 용역 결과에서 트램 설치에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정부와 협의를 거쳐 도시철도망 구축 계획을 확정하고, 오는 2026년까지 노선별 도시철도기본 계획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제주에서는 트램 도입 논의가 여러 차례 있어 왔다.

2010년 우근민 전 지사와 2016년 원희룡 전 지사가 관광 이동 수단과 도심 교통정체 문제 해소 방안 등으로 도입을 검토했으나 막대한 설치 비용과 그에 따른 경제성 부족, 기존 대중교통 수단의 활성화 이후 재논의 등을 이유로 무산됐다.

트램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기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탄소저감형 교통수단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다.

국토부 산하 공기업인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지난 1월 발표한 ‘제주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미래전략 용역’에 센터의 미래 핵심사업으로 수소전기트램 도입을 포함했다.

도는 제주도 최상위 법정계획인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에 트램 도입을 반영하고, 지난 4월 트램 도입안을 담은 제4차 제주도 대중교통계획 안을 통과시켰다.

올해 당선된 오영훈 지사도 핵심 공약으로 트램 도입을 제시한 상태다.

제주도 관계자는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노선을 찾는 작업이 관건”이라며 “용역 결과에 따라 추진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