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 해양수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약 70% 감축키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1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4차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계획(2022~2026)’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수립된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이행하는 차원이다.
해수부는 2018년 대비 2030년 해양수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70% 저감, 연안·해양 기후재해로 인한 인명·재산 손실 최소화, 해양 기후위기 대응 정책의 국민 체감도 제고를 정책 목표로 세웠다.
해양수산분야의 온실가스배출량은 2018년 기준 406만t에 이른다.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정부는 노후어선 대체 건조 지원을 지속하고, 2026년부터 LPG·하이브리드 연료 추진 저탄소 어선을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또 2030년 이전에 선박 운항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제로화한 연안 여객 항로와 무탄소 선박이 투입된 국제 항해 항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온실가스 흡수를 위해서는 갯벌 염생식물 군락을 2025년까지 15㎢, 2030년까지 105㎢를 복원한다는 계획이다. 바다숲은 2025년까지 385㎢, 2030년까지 540㎢를 조성한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태풍·한파·폭염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극지·대양에 대한 연구를 강화키로 했다. 한반도 인근 해역의 이상 현상 감시를 위해 20여개의 관측망도 확충한다. 높은 파도와 폭풍해일 등에 대비한 더 강화된 재해 기준을 적용해 내년부터 항만 시설보강에도 들어간다.
해양폐기물 전용 집하장과 연계된 해양플라스틱 에너지화 시스템은 2025년부터 시범 보급한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