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값의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9년 9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16% 떨어져 16주 연속 하락했다.
주간 변동률로는 2012년 12월 10일(-0.17%) 이후 9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세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최소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거래 절벽이 심화되고 있다.
실거래가뿐만 아니라 매도 호가도 떨어지고 있다.
서울 25개구의 아파트값이 일제히 내렸고 도봉구 아파트값이 -0.31%로 가장 많이 떨어졌다.
노원구(-0.29%) 서대문구(-0.27%) 성북구(-0.25%) 중구(-0.25%) 종로구(-0.24%) 마포구(-0.20%) 등 동북부와 도심권을 중심으로 하락폭이 컸다.
강남권에서는 강남구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9% 하락했다.
서초(-0.05%)·송파구(-0.18%)는 지난주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송파구의 경우 토지거래허가구역인 잠실동의 엘스·리센츠·트리지움 등 대표 아파트의 전용면적 84㎡가 20억원 안팎에 팔리면서 실거래가격이 직전 최고가 대비 6억∼7억원 하락한 것이 매매 호가 하락으로 이어졌다.
경기도(-0.21%)는 지난주(-0.22%)보다 낙폭이 다소 작아졌다. 인천(-0.29%)은 지난주와 같은 수준의 하락세를 보였다.
수도권(-0.20%)과 전국(-0.16%) 아파트값이 전체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다만 하락폭은 지난주보다 각각 0.01%포인트(p) 둔화됐다.
전셋값도 신규 수요가 줄어든 영향으로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2% 떨어지면서 지난주(-0.11%)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8월 전국의 주택종합(아파트·단독·연립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29% 하락했는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인 2009년 1월(-0.55%) 이후 13년 7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이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