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중에 거래되는 더자일리톨껌 122g 가격이 2980원선인데 이를 80㎏으로 환산할 경우 195만원선입니다. 이에 비해 현재 쌀 값은 80㎏에 16만원선이니까 쌀 값이 껌 값의 10% 수준도 못 된다는 게 입증됐습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가 15일 오후 전국 쌀 주산지 8개 광역자치단체 도지사들과 함께 쌀 값 안정 대책 마련에 정부가 적극 나서 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산지 쌀 값은 세 차례의 시장 격리에도 지난해 10월 5일 22만7212원(80㎏)을 기록한 이후 지속해서 하락했다.
지난달 말에는 2018년 이후 처음으로 17만원선이 무너지면서 지난 5일 기준 16만4740원을 기록했다.
이에 쌀 주산지 8개도(경북, 경기, 강원, 충남·북, 전남·북, 경남)를 대표해 이 경북지사와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이날 국회에서 ‘쌀값 안정 대책 마련 촉구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8개 도지사들은 성명서에서 “올해 세 차례의 시장 격리에도 지난해 10월 22만7000원이었던 80㎏ 기준 쌀 값은 9월 현재 16만4000원으로 하락했다”며 “지난 20년 간 밀가루 값이 216%, 짜장면 값이 113% 오르는 동안 쌀 값은 33% 상승에 그친 반면 지금은 유류대, 비료대 등 생산비의 급격한 상승으로 우리 농업인들은 극심한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쌀 농사가 흔들리면 식량 주권도 흔들릴 수밖에 없다”며 정부에 ▲수입 쌀 포함 80만t인 공공 비축 물량을 순수 국내산 쌀 100만t으로 확대하고 지난해 생산된 벼 재고량 즉시 전량 매입 ▲올해 산 햅쌀에 대해서도 공공비축미곡 매입방식으로 시장격리 신속 시행 ▲논 타 작물 재배사업에 대한 국고지원 부활 등 쌀 적정량 생산 및 소득보전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시행 ▲양곡관리법 개정을 통한 정부의 쌀 수급 안정 대책 의무화 등을 촉구했다.
이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은 “쌀은 우리 농업의 중심이자 근간으로 지자체의 힘만으로는 쌀 값 안정대책을 마련하기에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가 적극 나서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경북도는 민선8기 출범과 함께 농업대전환 추진위원회를 출범하고 윤석열 정부 120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식량주권 확보와 농가경영안정성 강화’와 연계 식량안보 위기대응 지원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 벼 재배농가의 소득보전과 경영안정을 위한 특별지원과 논 타 작물 전환 등 쌀 적정생산을 위한 시책과 함께 쌀 소비 촉진을 위해서도 쌀 가공 산업 육성, 초중고생 아침밥 먹기, 우수브랜드 쌀 홍보·캠페인 등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