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8일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 당국 간 회담을 북한에 전격 제의했다.
윤석열정부가 이산가족 문제와 관련해 북한에 회담을 제안한 것은 처음이다.
북한이 어떤 대답을 내놓을지는 미지수다. 다만, 최근 남북관계를 고려할 때 우리 정부의 제안을 무시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권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통일부 장관 명의의 담화를 통해 “오늘 정부는 남북 당국 간 회담을 개최해 이산가족 문제를 논의할 것을 북한 당국에 공개적으로 제의한다”고 밝혔다.
권 장관은 이어 “남과 북의 책임 있는 당국자들이 빠른 시일 내 직접 만나서 이산가족 문제를 비롯한 인도적 사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특히 “이산가족이라는 단어 자체가 사라지기 전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장관은 그러면서 “과거와 같은 소수 인원의 일회성 상봉으로는 부족하다”면서 “당장 가능한 모든 방법을 활용해 신속하고도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통상 한 번에 100명 정도씩 만나는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이산가족 대다수가 고령으로 시간이 촉박한 상황을 고려해 정례적인 상봉은 물론 생사 확인·서신 교환 등 포괄적 해결 방안을 논의하자는 뜻으로 해석됐다.
권 장관은 이와 관련해 “(상봉이) 일회성보다는 지속적, 정례적으로 되기를 기대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권 장관은 또 “회담 일자, 장소, 의제와 형식 등도 북한 측의 희망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겠다”며 “북한 당국이 우리의 제안에 조속히 호응해 나올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말했다.
통상 적십자 채널로 이뤄졌던 이산가족 관련 논의에 대해 당국 간 회담을 제안한 것도 이례적이다.
권 장관은 이에 대해 “코로나19 방역 상황에서 이산가족 상봉이 시작되더라도 실제적인 상봉을 시행해 나가는 데 여러 추가적인 조치들이 필요할 것”이라며 “당국자 회담을 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남측의 제안을 전격 수용할 경우 중단된 남북 대화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수 있지만, 북한의 강경한 대남 기조로 인해 실제로 호응할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와 관련해 권 장관은 “계속해서 북에 대해 문을 두드리고 지속적으로 제안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우진 신용일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