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교육·기관 설립·정착금 인상…오세훈 시장, 자립준비청년 지원책 발표

입력 2022-09-07 15:50

오는 12월 서울에 자립준비청년(보호 종료 아동)을 위한 자립 지원 전담기관이 설치된다. 취업 교육 등을 위한 특별교육 패키지가 개설되고, 자립수당과 자립정착금도 대폭 인상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7일 서울 용산구의 아동 양육시설인 영락보린원을 찾아 자립준비청년과 간담회를 하고 자립준비청년 자립지원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오 시장은 “자립을 준비하는 여러분이 홀로 서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현실적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며 “외롭고 힘든 과정에 서울시가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자립준비청년은 만 18세가 돼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시설 등에서 나와야 하는 청년들을 말한다. 서울에서만 매년 300여명이 사회로 나오고 있으며, 현재 1541명이 활동 중이다.

자립 지원 강화대책은 4대 분야 12개 사업으로 추진된다. 우선 일자리 교육 및 취업 연계를 위해 서울시 4개 기술교육원에 맞춤형 교육 패키지를 개설한다. 아동복지시설 내 자립 지원 전담 요원을 보조하거나, 후배 청년의 자립을 지원하는 일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신규 일자리도 발굴한다.

통합 지원 인프라 확충을 위해선 12월 자립 지원 전담기관을 설치하고, 자립준비 청년을 위한 24시간 긴급전화를 개설한다. 전담기관은 서울시 아동복지센터 내 설치되며 전담인력 16명을 배치한다.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인 1주거공간 확보를 목표로 서울주택도시공사(SH) 매입형 임대주택을 확대한다. 내년부터 자립수당은 월 35만 원에서 월 40만 원으로, 자립정착금은 1000만원에서 1500만원으로 각각 인상한다. 자립정착금 사용법, 금융사기‧범죄연루 예방 등을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자료도 개발키로 했다.

자립을 준비하는 15세부터 심리적‧정서적 지원 체계도 강화한다. 시 관계자는 “최근 자립준비 청소년의 안타까운 사연이 연달아 발생해 전문가 자문을 구했다”며 “심리적‧정서적 지원이 밑바탕이 되지 않고서는 단절적 지원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말했다. 시는 지역사회 연계 및 사회적 결연을 확대해 보호 종료 후에도 지속해서 심리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또 ‘50+자원봉사단’ 시민 멘토, 시설별 선·후배 간 멘토‧멘티 결연을 통해 문제를 공유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월 20만 원을 지원해 취미동아리와 자조 모임에도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종합심리검사 및 상담 대상을 예비자립준비 청년까지 넓히고 정신건강 고위험군의 경우 자치구 정신건강 복지센터, 서울대병원 등과 연계해 치료를 지원할 예정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