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산하 기관장 인사 청문 대상 확대…모범지역 재확인

입력 2022-09-07 13:22
전북도의회와 전북도가 전북도 산하 기관장 인사 청문 대상을 기존 5곳에서 9곳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사진은 전북도청(왼쪽)과 전북도의회.

전북도의회와 전북도가 ‘전북도 산하 공기업 및 출자·출연기관 등의 장’에 대한 인사청문회 대상을 기존 5곳에서 9곳으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이로써 전북은 도 산하 기관장 인사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모범 지역임을 재확인하게 됐다.

전북도의회는 국주영은 도의장과 김관영 전북지사가 6일 도의회 의장실에서 인사청문회 대상 확대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인사 청문 대상을 현행 5개 기관에서 9개로 확대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전북테크노파크, 전북경제통상진흥원, 자동차융합기술원, 전북콘텐츠융합진흥원 등 4개 기관이 새로 추가됐다.

이로써 전북도 공기업과 출연기관 16개 중 56.3%가 인사청문 대상이 되었다. 그동안은 전북연구원과 군산의료원, 신용보증재단, 전북개발공사, 문화관광재단 등 5곳만 실시돼 왔다.

이날 협약에서 인사청문 기간도 10일에서 15일로 늘어났다. 또 청문위원이 10~11명에서 1명 증원되고, 참고인 등의 출석요구 추가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이번 협약은 두 기관이 인사 청문제 도입에 첫발을 뗀 지 3년 8개월만의 성과다.

앞서 두 기관은 2003년과 2014년 두 차례 법정 다툼까지 벌이는 등 맞서왔다. 도의회는 ‘자질 검증’을 내세웠고, 전북도는 ‘인사권은 도지사 고유권한’이라고 주장했다.

소송전은 모두 전북도가 승소했지만 2019년 1월 송하진 지사가 청문회 도입을 전격 수용하며 큰 발을 내딛었다. 이 같은 상황에 이번 청문 대상 확대는 전국 지자체에 전하는 상징적인 의미가 크고 향후 활동이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주영은 도의장은 “출연금이나 자본금을 고려할 때 도정 운영에 기여도가 높은 모든 기관이 인사청문 대상이 되었다”며 “앞으로 인사 검증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지방정부의 한 영역인 공공기관이 제 몫을 다할 수 있도록 한 곳이라도 더 능력과 자질이 있는 인물을 찾아야 한다”며 “더 많은 공공기관이 각각에 꼭 맞는 장을 맞는다면 우리 도는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발전할 거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