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제주도 남쪽 약 100㎞ 앞까지 다가왔다. 힌남노는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 부산‧울산‧경남으로 향한다. 한반도 동남부로 상륙하는 과정에서 강우, 강풍, 폭풍해일을 동반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5일 오후 10시10분 방재 속보에서 “힌남노가 오후 9시 현재 제주도 서귀포 남쪽 약 120㎞ 해상에서 시속 33㎞로 북북동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태풍의 현재 중심기압은 940hPa(헥토파스칼), 최대풍속은 시속 47m(169㎞)로 측정됐다. 중심부에서 930hPa 이하의 기압이 관측되면 매우 강한 태풍으로 분류된다. 힌남노의 중심기압은 기준보다 다소 높지만, 기상청은 ‘매우 강’으로 지정하고 경로와 위력의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
제주도 전역은 이미 초속 25m 이상의 폭풍권 안에 들어 있다. 다만 힌남노는 당초의 우려와 다르게 제주도 남쪽 해안지역으로 진입하지 않고 동쪽 해상으로 지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힌남노의 6일 오전 3시 위치를 부산 남서쪽 약 180㎞ 부근 해상으로 전망했다. 힌남노는 이때까지 중심기압 945hPa, 최대 초속 45m의 바람을 일으켜 ‘매우 강’의 강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경남 통영으로 상륙해 경북 포항으로 빠져나가는 힌남노의 한반도 내륙 상륙 경로는 아직 바뀌지 않았다. 태풍 중심부의 오른쪽인 위험반원에 들어갈 부산, 울산, 경남은 6일 새벽부터 아침 사이 강우, 강풍, 폭풍해일의 고비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힌남노는 6일 오전 9시 포항 북동쪽 약 60㎞ 부근 해상으로 빠져나간 뒤 다시 울릉도로 향하게 된다. 6일 오후 3시 울릉도 북북동쪽 약 280㎞ 부근 해상을 지나 7일 오전 3시 일본 삿포로 북북서쪽 약 490㎞ 부근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약화될 것이라고 기상청은 전망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