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당초 예측보다 3시간 이상 이른 6일 오전 5~6시쯤 경남 남해안에 상륙한다. 강풍과 호우, 해일의 강도는 당일 오전 정점을 찍은 뒤 태풍이 동해상으로 빠져나가면서 점차 약해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5일 오후 7시 기준 힌남노가 제주도 서귀포 남쪽 140㎞ 해상에서 시속 35㎞로 북동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심기압은 940hPa(헥토파스칼), 최대풍속은 초속 47m로 관측돼 분류체계상 ‘매우 강’에 해당한다. 태풍은 이날 오전까지 전반적으로 정북 방향을 향했다. 이동 속도는 생활용 자전거와 비슷한 시속 20㎞ 안팎이었다. 그러나 이후 북동쪽으로 다소 방향이 바뀌었고 속도 역시 빨라졌다.
힌남노는 6일 0시를 전후해 제주도를 지나친 뒤 같은 날 오전 5~6시쯤 경남 해안에 도달하겠다. 전날 예보된 상륙 시각보다 몇 시간 이르다. 중심기압은 상륙 시점에도 950hPa 안팎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지금껏 가장 강한 세력을 지난 채 상륙한 태풍이 된다.
기상청에 따르면 6일 경남 사천과 부산 해안가 사이 지점을 태풍의 눈이 지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태풍이 북동쪽으로 곧장 나아가는 게 아니라 좌우로 50㎞가량 움직이며 ‘지그재그’ 식으로 이동해 태풍의 직접 타격 범위는 다소 유동적이다.
기상청은 정확한 태풍 상륙 지점과 관계없이 전국에 큰 피해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남해안 일대는 예보상 초속 25m 이상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예보됐다. ‘폭풍반경’이 남부지방뿐 아니라 충청·강원 일부 지방에 걸쳐 있고 ‘강풍반경’은 400㎞에 달한다. 태풍 중심이 부산에 위치해도 서울까지 초속 15m가 넘는 강한 바람이 부는 것이다. 5~6일 전국에 100~300㎜의 폭우도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은 6일 오전 가장 큰 피해를 줄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와 남해안, 경상 동해안 등지엔 시간당 50~100㎜의 매우 많은 비가 내리겠다. 태풍은 오전 8시쯤 동해상으로 빠져나간 뒤 약화하기 시작해 같은 날 밤부터는 국내엔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학사 일정도 조정됐다. 6일 제주도에서는 학교 278곳(89.7%)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다. 24곳(7.7%)은 휴업, 8곳(2.6%)은 단축수업을 한다. 부산·경남은 전체 학교가 원격수업으로 전환된다. 서울의 경우 유치원·초등학교는 휴업, 중학교는 원격수업, 고교는 학교장 재량에 맡긴다.
송경모 이도경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