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제주도 동남쪽 해안을 스쳐 6일 경남 통영으로 상륙하고 경북 포항 호미곶에서 빠져나가는 이동 경로를 그렸다. 한반도 내륙에서는 부산·울산·경상도를 포함한 영남 일대를 직격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5일 오후 4시 태풍통보문에서 “힌남노가 오후 3시 현재 제주도 서귀포 남남서쪽 약 270㎞ 부근 해상에서 시속 33㎞의 속도로 북북동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속 20㎞를 밑돌던 이동속도는 이제 시속 30㎞대로 빨라졌다. 현재 중심기압 935hPa(헥토파스칼)에 최대 초속 49m의 강풍을 몰아치는 힌남노의 강도는 ‘매우 강’으로 분류돼 있다.
힌남노는 6일 0시를 전후로 제주도 동남부를 할퀴고 북동진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힌남노가 5일 오후 9시 서귀포 남쪽 약 90㎞ 부근 해상에서 6일 오전 3시 부산 남서쪽 약 190㎞ 부근 해상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때 ‘매우 강’의 태풍 강도와 시속 30㎞대의 이동 속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힌남노는 6일 오전 7시쯤 경남 남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륙 지점은 통영이 유력하다. 기상청은 같은 날 오전 9시 힌남노의 위치를 부산 북북동쪽 약 130㎞ 부근 해상으로 지목했다. 이곳은 포항 호미곶 북동쪽 근해인 북위 36.3, 동경 129.7의 지점이다.
기상청의 태풍통보문을 종합하면, 힌남노는 6일 오전 7시쯤 통영에서 9일 오전 9시쯤 포항 호미곶까지 2시간 동안 영남 일대를 할퀴고 지나가게 된다. 통상 태풍 중심부의 오른쪽인 위험반원을 고려하면 힌남노의 한반도 상륙 과정에서 부산‧울산‧경남의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힌남노는 포항 호미곶에서 빠져나갈 때 이동 속도를 시속 52㎞로 끌어올린다. 체류 기간을 최소화할수록 피해를 줄이는 만큼 이동 속도의 가속 여부도 지켜볼 대목이다. 힌남노는 이때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초속 40m의 힘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심부에서 930hPa의 기압이 관측되면 매우 강한 태풍으로 분류되는데, 이에 준하는 위력을 한반도 동남부 내륙에서 발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상청은 이때 힌남노의 강도를 ‘강’으로 예상했다.
힌남노는 동해에서 북동진하는 과정에서 울릉도를 직격할 수 있다. 기상청은 “힌남노가 6일 오후 3시 ‘강’의 강도를 유지하고 울릉도 북북동쪽 약 290㎞ 부근 해상에서 북동진을 계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