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추진…14만6000명 수혜

입력 2022-09-04 11:43 수정 2022-09-04 12:30
인천시청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노인, 장애인, 아동을 대상으로 시설 입소 없이 사는 곳에서 돌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를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시는 내년부터 3년간 실천과제별 시행계획 수립과 기반 구축을 거쳐 2026년부터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를 보편화할 계획이다.

인천의 노인 인구는 2027년 62만1000명으로 지난해보다 20만5000명 늘어날 전망이다. 노인 인구 비중 역시 20.7%로 증가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인천에서는 1인 가구 증가 등 가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가족 부양의무 인식 약화 등으로 가족 중심의 돌봄 기능 축소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시는 점차 돌봄 서비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복지 환경 변화에 맞춘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전달체계 혁신 및 돌봄 사각 제로 추진, 통합돌봄 정책 추진 기반 조성, 민·관 협력 네트워크 조직을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의 3대 전략으로 설정했다.

핵심 실천과제로는 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읍·면·동 155곳과 사회복지관 20곳 등 175곳에 원스톱 공감돌봄상담창구를 설치한다. 공감돌봄상담창구에서는 돌봄이 필요한 시민을 대상으로 돌봄 매니저가 서비스 종류, 관련 기관 정보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시는 공감돌봄상담창구를 활성화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을 직접 방문해 서비스를 받아야 했던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른 실천과제에는 시민지원단 활동가 양성, 인공지능(AI) 케어콜 돌봄서비스 지원, 사회서비스원 종합재가센터 확충,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군·구 통합돌봄 시범사업 확대 등이 있다. 시는 이들 실천과제를 통해 돌봄이 필요한 시민을 발굴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안전망으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는 노인과 장애인으로 한정됐던 보건복지부의 돌봄 서비스 수혜 대상에 아동을 포함했다는 것 역시 특징으로 꼽힌다. 시는 앞으로 아동 돌봄과 집 수리 등 지역 특화형 돌봄 서비스를 강화해 국가 돌봄 서비스를 보충할 예정이다.

현재 시가 추정하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 수혜 대상은 전체 인구의 약 5%인 14만6000명에 이른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는 저소득층이나 중증 대상자 중심의 시설보호가 아닌 돌봄서비스가 필요한 시민 누구나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신속하고 촘촘한 돌봄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시의 돌봄 역량을 집중하는 핵심 복지사업”이라며 “적극적인 돌봄 사각지대 발굴과 맞춤형 복지로 시민이 행복한 인천, 공감복지공동체 인천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