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北 7차 핵실험 시 대응 확실히 다를 것”

입력 2022-09-02 07:32 수정 2022-09-02 07:58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하와이 미 인도·태평양사령부에서 열리는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 8월 31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서 출국하고 있다.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할 경우 지금까지와는 대응이 확실하게 다를 것.”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1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한미일 안보수장 회동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한국과 미국,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강력하게 공동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는 취지였다.

김 실장은 “북한이 여섯 차례의 핵실험을 했는데 한 차례 더 핵실험을 한 것에 불과하다는 식의 안이한 생각이나 대응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된다는데 의견을 함께했다”고 밝혔다. 그는 “7차 핵실험시 한미일 3국은 국제사회와 더불어 분명하게 잘못된 선택이었다는 점을 (북한이) 깨닫게 해주는 방향으로 협력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한미일은 7차 북핵실험시 대응방안에 대해 상당히 구체적으로 논의했다고 김 실장이 전했다. 다만 논의 내용에 대해선 “공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을 아꼈다.

윤석열 대통령이 밝힌 ‘담대한 구상’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김 실장은 “미국과 일본은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북한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긴밀히 협조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그는 “담대한 구상으로 표현되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통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낼 수 있는 그런 방법을 모색해 보자는 데 미국과 일본이 전적인 공감을 표시했다”고 전했다.

경제안보 문제에 있어 협력 강화 방침도 나왔다. 김 실장은 “글로벌한 차원에서 공급망 교란 행위가 있을 경우에 한미일이 공동 대응할 방법을 모색키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도체와 배터리 분야를 언급하며 “첨단산업 분야의 공급망협력 문제는 이견보다는 공통분모가 훨씬 많았다”고 소개했다.

김 실장은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아키바 다케오(秋葉剛男)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이날 하와이에 있는 미군 인도·태평양사령부에서 회동했다. 한미일 안보수장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처음이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