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전철 동인천역 민간사업자 파산 피해금액 724억원

입력 2022-09-01 21:46 수정 2022-09-01 21:54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미추홀구갑)이 1일 경인전철 동인천역 민자역사 현황을 보고받고 있다. 허종식 의원실 제공

10년 넘게 흉물로 방치된 경인전철 동인천역 민자역사와 관련한 민간 사업자의 파산으로 집계된 피해금액이 724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미추홀구갑)이 국가철도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민간 사업자인 ㈜동인천역사의 파산에 따라 신고된 공공과 민간의 채권이 각각 229억원, 495억원으로 집계됐다.

공공에서는 한국철도시설공단(국가철도공단 전신)과 국민체육진흥공단이 각각 점용료 151억원, 전세보증금 78억원의 채권을 피해금액으로 신고했다. 민간에선 전차인 136명의 176억원의 가압류권(보증금), 건설사 3곳의 141억원의 유치권(공사대금), 채권자 50여명의 102억원의 파산채권, 임차인 82명의 33억원의 임차권 등이 신고됐다.

현재 국가철도공단은 점용허가 기간(30년)이 지나 정부가 국가 귀속을 결정했지만 채권을 해결하기 힘들 정도로 권리 관계가 복잡해 소유권을 확보하기 힘든 상태다. 이는 동인천역 민자역사가 오랜 기간 방치된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국민체육진흥공단은 2002년부터 최근까지 연간 653억원(누적 총 매출액 1조2740억원)의 매출과 연간 78억원(누적 1528억원)의 순이익을 본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화상 경륜장이 도입돼 동인천역 슬럼화를 부추겼다는 비판이 나오는 만큼 국민체육진흥공단도 공적 기여를 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허 의원은 “원도심의 랜드마크인 동인천역 민자역사가 지금은 흉물이 됐다”며 “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 등이 민자역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론의 장을 마련하는 한편 동인천역이 인천 원도심의 랜드마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