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에서 지배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공개했다.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를 ‘최전선 무기’로 내세웠다.
LG 씽큐는 주력 제품인 업(UP)가전의 허브 역할을 하며 다양한 신기능을 구현할 예정이다. 이용자들이 프리미엄 제품을 구매한 뒤에도 지속해서 ‘좋은 사용경험’을 느끼도록 하려는 포석이다.
류재철 LG전자 H&A 사업본부장(부사장)은 ‘베를린국제가전박람회(IFA 2022)’ 개막 하루 전인 1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LG전자의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을 선도 전략을 밝혔다.
류 본부장은 시장을 이끌 핵심으로 LG 씽큐를 제시했다. LG전자는 현재 18개 업가전 제품의 기능을 LG 씽큐로 수시 업데이트 중이다. 약 100개의 콘텐츠를 업그레이드로 제공했고, 향후 다양한 신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다. LG전자에 따르면 고객들의 업그레이드 콘텐츠 사용 비율은 50%에 육박한다.
류 본부장은 “LG 씽큐는 쓰면 쓸수록 점점 더 고객의 일상을 스마트하고 편리하게 만드는 진일보한 플랫폼이다. 제품 사용경험을 넘어 고객경험 여정의 전반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최상의 솔루션으로 거듭나도록 진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또 류 본부장은 수요 절벽에 직면한 최근 시장 상황에서 가전 사업 본연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가전 시장 지배력을 높이려면 제품 라인업을 다양한 소비 패턴에 맞게 구축하는 것이 ‘정공법’이라는 판단이다.
예를 들어 프리미엄 제품 실적이 유럽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면, 이에 맞춰 유럽에 적합한 에너지 효율과 공간 활용성 높은 제품 라인업을 늘려 성장시키는 방식이다.
류 본부장은 “최근 불안정한 국제 정세에 따른 불확실성, 유례없는 인플레이션 등으로 하반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며 “고객가치를 최우선으로 두고 경쟁력 있는 프리미엄 제품을 앞세울 예정이다. 수요 양극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중저가 시장에도 혁신 제품을 강화하는 등 사업 본연의 경쟁력을 더욱 높여 위기를 헤쳐나갈 것”이라고 했다.
베를린=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