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일하는 양육자 10명 가운데 3명은 직장 내 경쟁력 약화나 동료들의 업무 부담 등을 우려해 출산휴가나 육아휴직을 써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지난 6~7월 0~12세 자녀를 키우는 시민 2005명(여성 1482명∙남성 523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양육자 생활실태∙정책 수요조사’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 중 임금 근로자 1103명의 72.0%는 직장에서 출산휴가 등 일·생활 균형제도를 사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제도 유형별로는 출산 전후 휴가를 써봤다는 응답이 45.7%, 육아휴직 36.7%, 배우자 출산휴가 24.0% 등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28.0%는 일∙생활 균형 제도를 사용한 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일∙생활균형 제도를 사용하지 못한 이유는 직장 내 경쟁력 약화를 우려한 경우(여성 34.1%∙남성 29.8%)가 가장 많았고, 이어 동료들의 업무 부담(여성 20.7%∙남성 21.9%), 제도 사용 기간 소득 감소(여성 16.9%∙남성 16.7%) 등이 언급됐다.
특히 남성(15.8%)의 경우 여성(11.3%)보다 제도 사용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더 인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들은 출산 후 1년까지는 수면∙식사∙씻는 시간과 여가∙문화생활 등 나를 위한 시간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영유아 및 초등 자녀 양육 시기에는 여가∙문화생활 등 나를 위한 시간 부족(영유아기 85.6%∙초등기 83.1%), 아이 돌봄으로 아파도 제대로 쉬어 본 적 없음(영유아기 78.4%∙초등기 73.1%) 등이 어려운 점으로 꼽혔다.
대부분의 응답자(영유아기 84.7%∙초등기 83.9%)는 영유아와 초등 자녀가 돌봄 기관을 이용해도 양육자가 일하려면 추가 돌봄 조력자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맞벌이 가구의 주요 돌봄 조력자(중복 응답)는 조부모∙기타 친족∙이웃(영유아기 56.9%∙초등기 41.7%)이 가장 많았다. 초등기의 경우 각종 학원(42.7%)의 역할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