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윤(친윤석열)계 핵심인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은 31일 “저는 이제 지역구 의원으로서의 책무와 상임위(상임위원회) 활동에만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장 의원은 이어 “계파활동으로 비칠 수 있는 모임이나 활동 또한 일절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장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앞으로도 윤석열정부에서 어떠한 임명직 공직을 맡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이 지도체제를 둘러싸고 혼란에 빠진 상황에서 일부 의원들은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2선 퇴진을 촉구해왔다. 이에 원조 ‘윤핵관’으로 꼽히는 장 의원이 당 내분 확산을 막기 위해 사실상 2선 후퇴 의사를 밝힌 것으로 분석된다. 장 의원의 이번 선언이 신호탄 역할을 해 ‘윤핵관’으로 불리는 다른 의원들의 2선 후퇴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장 의원은 “최근 당의 혼란상에 대해 여당 중진 의원으로서, 인수위(대통령직인수위원회) 시절 당선인 비서실장을 지낸 사람으로서 무한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장 의원은 또 “지금까지 언론이나 정치권 주변에서 저에 대해 사실과 다르게 말하거나 과도하게 부풀려져 알려진 것이 많이 있지만 모든 게 제 부덕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당이 갈등을 최소화하고 빨리 정상화됨으로써 윤석열정부를 성공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주호영 비상대책위원회’가 좌초되며 여권이 대혼돈에 빠진 상황에서 친윤계를 겨냥한 공세가 강화되자 장 의원이 선제적으로 ‘계파 활동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분석된다. 장 의원과 가까운 한 초선 의원은 “‘윤심(尹心)’과 ‘당심(黨心)’을 모두 잡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여권에선 ‘윤핵관’ 핵심인 장 의원의 2선 후퇴로 윤석열 대통령 주변 권력 구도가 ‘윤핵관’ 세력에서 검찰과 관료 집단으로 재편돼 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대통령실의 고강도 인적쇄신 과정에서 장 의원이 추천한 대통령실 인사가 상당수 물갈이된 점은 이 같은 해석에 힘을 싣고 있다.
하지만 한 친윤계 초선 의원은 전화통화에서 “장 의원이 추천한 인사가 워낙 많아서 그렇게 보이는 것뿐”이라고 일축했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