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중·동구의 통폐합을 통해 제물포구와 영종구를 신설하고 서구에서 검단구를 분구하는 등 2군·9구로 행정체제 개편을 추진한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31일 시민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생활권과 인구 규모에 적합한 방식으로 행정체제를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의 주민등록인구는 1995년 235만명에서 올해 7월 기준 296만명으로 61만명 증가했다. 기초자치단체당 평균 인구는 29만6000명으로 광역시 중 최고 수준이다. 333만명의 인구를 가진 부산에는 1군·15구가 있고, 기초자치단체당 평균 인구는 20만8000명에 불과하다.
유 시장은 개편안 발표에서 “현행 체제는 1995년 2군·8구로 확정된 이후 27년간 행정적·사회적 여건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시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개편안은 현행 2군·8구 행정체제를 행정구역 조정과 분구를 통해 2군·9구로 개편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현행 2군은 강화·옹진군, 8구는 중·동·미추홀·연수·남동·부평·계양·서구다.
시는 우선 지역 여건과 주민 숙원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중구와 동구의 내륙지역을 제물포구로 통합할 계획이다. 또 인천국제공항과 영종국제도시가 있는 중구 영종지역을 영종구로 나눈다. 이에 따라 기존 중구와 동구는 내륙지역인 제물포구와 영종지역인 영종구로 변경된다.
인천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서구(57만명)에서는 검단구를 분구한다. 분구 대상인 검단지역은 과거 경기도 김포에서 편입된 이후 기존 지역과 문화적 차이 등을 보이는 곳이다. 청라국제도시, 루원시티, 검단신도시 등에서 계속 신도시 개발이 이뤄지는 서구는 향후 인구가 7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에 맞춰 분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구월2지구에 3기 신도시가 들어서는 남동구에 대해서는 분구 등이 검토된다. 남동구의 행정체제 개편 추진 여부는 주민의견 수렴과 중앙부처 협의를 선행한 뒤 결정한다.
시는 앞으로 행정체제 개편에 대한 당위성과 필요성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한편, 전문 연구용역을 통해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마련한다. 개편은 법률 제정 등을 거쳐 이뤄질 예정이다.
유 시장은 “인천과 여건이 비슷한 다른 광역시와의 연대와 협력을 주도하고 인천이 앞장서서 대한민국 지방행정체제의 개혁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