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30일 “당헌·당규 개정을 통한 새로운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말고 어떤 대안이 있나”라며 “의원총회로 (비대위 구성을) 결의했다가 곧바로 이를 부정할 경우 위기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법원이 주호영 비대위원장의 직무 정지를 결정한 다음 날인 27일 의총에서 새 비대위를 꾸리기로 결의했다.
그러나 안철수·윤상현 의원 등을 중심으로 “권 원내대표가 사퇴하고 비대위 구성을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런 주장에 대해 권 원내대표가 다시 반박에 나선 것이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총에서 “지금 위기는 당대표 징계라는 초유의 사태와 당헌·당규 미비가 결합한 구조적인 문제”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헌·당규 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새 비대위는 의총을 통해 우리 스스로 의결했던 내용”이라며 “자신의 결의를 자신이 준수하는 것이 정당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권 원내대표는 “의총 결정을 우리 스스로 무겁게 생각해야 한다”면서 “의원 여러분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과 가장 신속한 방식을 고민해 달라”고 당부했다.
권 원내대표는 자신이 당의 위기를 초래했다는 평가에 대해 억울하다는 입장도 드러냈다.
그는 “현재 당 위기의 시작이 이준석 전 대표의 성상납 의혹 무마 시도로 인한 윤리위원회 징계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당대표 징계 이후 위기가 찾아올 때마다 의총을 열고 민주적 토론을 통해 총의를 모았다”며 “비대위 전환을 요구하는 의원들 수십명이 연판장을 돌리기도 했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어 “당시 한 분 제외하곤 모두 비대위 출범에 찬성했음을 여러분도 잘 알고 계실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웅 의원을 뺀 나머지 의원들 모두 비대위 구성에 동의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날 의총에서 당헌·당규 개정 방향을 공개하고 의원들의 총의를 모을 예정이다. 국민의힘은 선출직 최고위원 5명 가운데 4명이 사퇴하면 비상 상황이 되고, 비대위 출범이 가능하다는 조항을 당헌에 삽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