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유의동·최재형 국민의힘 의원은 29일 “권성동 원내대표는 스스로 사퇴해 당의 조속한 정상화를 위한 물꼬를 터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또 “국민의힘은 비상대책위원회 유지 입장을 철회하고 당헌·당규에 따라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 당대표 직무대행직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27일 의원총회를 열고 법원의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 직무 정지 결정에 대응해 새로운 비대위를 꾸리기로 했다.
당헌·당규 개정을 통해 비대위 출범 조건 중 하나인 ‘비상 상황’에 대한 근거를 세분화한 뒤 새 비대위를 출범시키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의원들이 ‘비대위 비토’를 제기하는 등 내홍이 이어지고 있다.
윤상현·유의동·최재형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토요일(27일) 격론 끝에 정해진 당의 결정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지도부가 내린 결정은 법원의 가처분 결정의 핵심과 매우 동떨어진 내용”이라며 “민주 정당이라면 법원이 지적한 문제들을 다시 살펴보고 치유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세 의원은 “지금 당의 위기는 지도부에서 촉발된 측면이 매우 크다”며 “당헌·당규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적법 절차를 편의적으로 남용하도록 용인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의힘이 계속 민심과 동떨어진 채 토요일과 같은 결정으로 일관하면 정치를 죽이고 당을 죽이고 대통령을 죽이는 길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새 비대위 구성은 꼼수”라며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 그 원내대표가 당대표 직무대행을 겸임해야 하고, 새 지도부를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법원의 결정은 일단 비대위가 무효화된다는 것”이라며 “새 원내대표가 들어서면 당대표 직무대행으로서 새 최고위원회를 구성하게끔 하고, 조기 전당대회는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권 원내대표가 사퇴했을 때 혼란이 커질 수 있지 않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오히려 물러나야 물꼬를 튼다. 자기만의 아집”이라고 답했다.
윤 의원은 또 장제원 의원이 “(권 원내대표가 사퇴하면) 당 수습은 누가 하나”라고 말한 것과 관련해선 “당 소속 의원이 몇 명인데 왜 위기를 타개할 능력을 갖춘 분이 없겠나”라며 “아전인수격 해석”이라고 일축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